미국 증시, 금리 인상 지연 전망에도 혼조 마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뉴욕증시가 오는 6월 기준금리가 인상될 것이란 전망이 배제됐음에도 혼조세로 마감했다.
2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26.99포인트(0.15%) 내린 1만8285.40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1.98포인트(0.09%) 하락한 2125.85에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 종합지수만이 1.71포인트(0.03%) 오른 5071.74를 기록했다.
이날 뉴욕증시는 소폭 하락세로 개장한 이후 등락을 반복하다가 오후 2시께 FOMC 회의록이 공개된 이후 일제히 상승하기 시작했다. 다만 장 후반 들어 상승폭은 다소 축소됐다.
미국중앙은행(Fed)이 오는 6월에는 기준금리를 올리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확인되면서 투자심리 개선에 도움을 줬지만, Fed가 최근 나타난 미국 경제의 부진을 '일시적 현상'으로 보고 있는 점도 확인돼 금리 인상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공개된 금리·통화 정책회의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지난달 의사록에는 "많은 (회의) 참가자들은 오는 6월에 사용할 수 있는 (경제지표) 자료들이 연방기금금리 목표치 인상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을 보였다"는 내용이 있었다. 사실상 오는 6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배제한 것이다.
다만 회의록에는 지난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잠정치가 0.2%에 머무는 등 부진했던 미국 경제에 대해 대체로 강추위나 서부 항만 노사분규 같은 일시적 요인 때문으로 판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6월 금리 인상 가능성은 배제됐지만 시장에서는 오는 22일 예정된 재닛 옐런 중앙은행 의장의 연설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연설에서 기준금리 인상 시점에 대한 시사점이 나올 가능성이 있어서다.
에릭 비간드 US뱅크 웰스 매니지먼트 매니저는 “연준이 금리 인상 스케쥴을 올해 말쯤으로 연기한 것으로 풀이된다”면서 “6월 금리 인상 가능성은 낮으며 연준은 고용 지표와 2분기 경제성장률에 따라 시기를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국제유가는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7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99센트(1.71%) 오른 배럴당 58.9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최성남 한경닷컴 기자 sulam@hankyung.com
2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26.99포인트(0.15%) 내린 1만8285.40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1.98포인트(0.09%) 하락한 2125.85에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 종합지수만이 1.71포인트(0.03%) 오른 5071.74를 기록했다.
이날 뉴욕증시는 소폭 하락세로 개장한 이후 등락을 반복하다가 오후 2시께 FOMC 회의록이 공개된 이후 일제히 상승하기 시작했다. 다만 장 후반 들어 상승폭은 다소 축소됐다.
미국중앙은행(Fed)이 오는 6월에는 기준금리를 올리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확인되면서 투자심리 개선에 도움을 줬지만, Fed가 최근 나타난 미국 경제의 부진을 '일시적 현상'으로 보고 있는 점도 확인돼 금리 인상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공개된 금리·통화 정책회의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지난달 의사록에는 "많은 (회의) 참가자들은 오는 6월에 사용할 수 있는 (경제지표) 자료들이 연방기금금리 목표치 인상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을 보였다"는 내용이 있었다. 사실상 오는 6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배제한 것이다.
다만 회의록에는 지난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잠정치가 0.2%에 머무는 등 부진했던 미국 경제에 대해 대체로 강추위나 서부 항만 노사분규 같은 일시적 요인 때문으로 판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6월 금리 인상 가능성은 배제됐지만 시장에서는 오는 22일 예정된 재닛 옐런 중앙은행 의장의 연설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연설에서 기준금리 인상 시점에 대한 시사점이 나올 가능성이 있어서다.
에릭 비간드 US뱅크 웰스 매니지먼트 매니저는 “연준이 금리 인상 스케쥴을 올해 말쯤으로 연기한 것으로 풀이된다”면서 “6월 금리 인상 가능성은 낮으며 연준은 고용 지표와 2분기 경제성장률에 따라 시기를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국제유가는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7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99센트(1.71%) 오른 배럴당 58.9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최성남 한경닷컴 기자 sul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