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정계 복귀?…내 팔자 스스로 결정 못해" 긍정도 부정도 안한 최 부총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崔 부총리에게 듣는 한국 경제 해법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7월 국회 복귀설에 대해 “내 팔자는 나 스스로 결정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정치권뿐 아니라 기재부에서도 최 부총리의 7월 복귀설이 돌고 있지만 긍정도 부정도 아닌 답변을 내놓았다.
친박(친박근혜)계에선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그의 국회 복귀를 강력히 희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유승민 원내대표 체제에서 친박계의 목소리를 높이고, 공천권을 확보하기 위해선 구심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현역 의원인 최 부총리가 내년 총선에 출마하기 위해서는 공직선거법에 따라 총선 90일 이전인 연말까지는 부총리직을 사퇴해야 한다. 지난 21일 국무총리 후보자로 지명된 황교안 법무부 장관이 총리에 임명되면 최 부총리의 ‘여의도 복귀’가 더 빨라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박근혜 정부에는 최 부총리뿐 아니라 황우여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유기준 해양수산부 장관, 유일호 국토교통부 장관, 김희정 여성가족부 장관 등 정치인 장관이 유독 많다. 따라서 이들이 연말에 한꺼번에 그만두기보단 단계적으로 사퇴할 것이라는 전망이 적지 않다.
최 부총리는 “장관은 대통령이 내일이라도 그만두라고 하면 그만둬야 한다”며 “나에게 많은 기대를 하는데, 재임 기간에는 이에 어긋나지 않게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친박(친박근혜)계에선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그의 국회 복귀를 강력히 희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유승민 원내대표 체제에서 친박계의 목소리를 높이고, 공천권을 확보하기 위해선 구심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현역 의원인 최 부총리가 내년 총선에 출마하기 위해서는 공직선거법에 따라 총선 90일 이전인 연말까지는 부총리직을 사퇴해야 한다. 지난 21일 국무총리 후보자로 지명된 황교안 법무부 장관이 총리에 임명되면 최 부총리의 ‘여의도 복귀’가 더 빨라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박근혜 정부에는 최 부총리뿐 아니라 황우여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유기준 해양수산부 장관, 유일호 국토교통부 장관, 김희정 여성가족부 장관 등 정치인 장관이 유독 많다. 따라서 이들이 연말에 한꺼번에 그만두기보단 단계적으로 사퇴할 것이라는 전망이 적지 않다.
최 부총리는 “장관은 대통령이 내일이라도 그만두라고 하면 그만둬야 한다”며 “나에게 많은 기대를 하는데, 재임 기간에는 이에 어긋나지 않게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