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IT쇼 2015] IoT·핀테크·스마트카…미래 세상 만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엑스서 27일 개막
국내를 넘어 글로벌 행사로 발돋움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ICT) 전시회인 ‘월드IT쇼(WIS) 2015’가 27일 화려한 막을 올린다. 이번 WIS 2015는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이 연결된 ‘초연결 세상’을 지향하자는 의미에서 ‘모든 것이 연결된다(Connect Everything)’는 주제로 열린다. 미래창조과학부가 주최하고 한국경제신문·한국무역협회·전자신문·코엑스·케이훼어스·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등이 주관해 오는 30일까지 나흘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 A, B, C홀에서 펼쳐진다.
국내외 ICT 대표 기업 신기술 뽐내
행사 주제인 ‘모든 것이 연결된다’에 걸맞게 사물인터넷(IoT) 등 다양한 ICT와 서비스가 선보인다.
전시관의 1421개 부스에는 삼성전자 LG전자 SK텔레콤 KT 등 국내 ICT 대표 기업들이 신제품을 전시한다. 삼성전자는 독자 운영체제(OS)인 ‘타이젠’을 탑재한 스마트TV와 커브드(곡면) 초고화질(UHD) TV, 갤럭시S6엣지 아이언맨 에디션 등을 선보인다. LG전자도 LG 울트라 올레드 TV와 최신 스마트폰 G4, 스마트워치인 LG워치어베인 등을 소개한다.
KT는 ‘사물이 연결된 5G 세상, 기가토피아’를 주제로 전시관을 운영한다. SK텔레콤은 전시장을 아예 일상 생활을 집약해 놓은 영화 세트장처럼 꾸몄다. 집부터 여가 생활까지 삶의 곳곳에 적용된 차세대 IoT 플랫폼을 생생하게 전달할 계획이다.
스타트업 등 국내외 ICT 중소기업들의 도약도 기대된다. 로봇 미션 스포츠게임을 선보일 아이알로봇, 드론(무인 비행기)으로 주목을 끄는 휴인스, 세계 최초의 매장용 스마트폰 충전기 ‘폰밥’을 선보일 프리비랩, 유·무선 통합 화상회의 솔루션 ‘큐릭스’를 선보일 유프리즘, 네트워크 기반 미디어 복제 및 삭제기인 ‘넷클론’을 전시할 클로닉스 등이 관심을 끈다. 글로벌 모바일 시장의 강자인 퀄컴, IT 네트워크 솔루션 기업인 휴렛팩커드(HP), 컴퓨터 프린터 및 이미징 관련 장비를 제조하는 세이코-엡손 등도 차별화된 신기술 경연에 동참한다.
6개국 통신사와 1 대 1 매칭
미래부와 정보통신진흥협회는 WIS 2015의 부대 행사로 국내 ICT 기업의 개발도상국 시장 진출을 위해 ‘글로벌 ICT 파트너십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대만 베트남 말레이시아 방글라데시 태국 인도네시아 등 6개국의 주요 15개 통신사를 초청해 국내 기업과 1 대 1 비즈니스 매칭을 지원한다. 이들의 관심 분야는 모바일 결제, 와이파이 서비스, 인터넷TV(IPTV), 광통신 케이블 및 기기, 네트워크 보안, e러닝, IoT, 클라우드 등이다.
지난해 행사 때 참여한 해외 5개 통신사와 국내 기업 간 글로벌 파트너십 양해각서(MOU) 서명식도 열린다. 총 투자금액만 1700만달러에 달한다. 국내 e러닝 전문회사인 빅스타글로벌은 베트남 통신사 두 곳과 교육 단말기 및 현지화 서비스 추진을 위한 3자 글로벌 파트너십 MOU를 체결할 계획이다. 모가씨엔디는 인도네시아 통신 협력사와 한국 콘텐츠 전송권 및 콘텐츠 유통에 대한 공급 계약을 맺을 예정이다. 이번 WIS에서도 적잖은 수출 성과가 기대되고 있다. 지난해 WIS에서는 총 1억달러에 달하는 상담 실적을 기록했다. 일반인 관람은 30일에 가능
전시관은 ‘초연결 세상’이란 콘셉트에 맞춰 최근 ICT 업계의 흐름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테마와 스토리가 있는 전시회를 구성하기 위해 △IoT △클라우드 컴퓨팅 △핀테크 △드론&스마트카 △3D 프린터 등 5개의 ‘전시공간(pavillion)’을 배치했다.
행사 개막일인 27일부터 29일까지는 전시회 참가 업체와 바이어들이 상담하고 행사를 살펴볼 수 있는 ‘비즈니스 데이’다. 행사 마지막 날인 30일은 일반인 누구나 관람할 수 있으며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문을 연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
국내외 ICT 대표 기업 신기술 뽐내
행사 주제인 ‘모든 것이 연결된다’에 걸맞게 사물인터넷(IoT) 등 다양한 ICT와 서비스가 선보인다.
전시관의 1421개 부스에는 삼성전자 LG전자 SK텔레콤 KT 등 국내 ICT 대표 기업들이 신제품을 전시한다. 삼성전자는 독자 운영체제(OS)인 ‘타이젠’을 탑재한 스마트TV와 커브드(곡면) 초고화질(UHD) TV, 갤럭시S6엣지 아이언맨 에디션 등을 선보인다. LG전자도 LG 울트라 올레드 TV와 최신 스마트폰 G4, 스마트워치인 LG워치어베인 등을 소개한다.
KT는 ‘사물이 연결된 5G 세상, 기가토피아’를 주제로 전시관을 운영한다. SK텔레콤은 전시장을 아예 일상 생활을 집약해 놓은 영화 세트장처럼 꾸몄다. 집부터 여가 생활까지 삶의 곳곳에 적용된 차세대 IoT 플랫폼을 생생하게 전달할 계획이다.
스타트업 등 국내외 ICT 중소기업들의 도약도 기대된다. 로봇 미션 스포츠게임을 선보일 아이알로봇, 드론(무인 비행기)으로 주목을 끄는 휴인스, 세계 최초의 매장용 스마트폰 충전기 ‘폰밥’을 선보일 프리비랩, 유·무선 통합 화상회의 솔루션 ‘큐릭스’를 선보일 유프리즘, 네트워크 기반 미디어 복제 및 삭제기인 ‘넷클론’을 전시할 클로닉스 등이 관심을 끈다. 글로벌 모바일 시장의 강자인 퀄컴, IT 네트워크 솔루션 기업인 휴렛팩커드(HP), 컴퓨터 프린터 및 이미징 관련 장비를 제조하는 세이코-엡손 등도 차별화된 신기술 경연에 동참한다.
6개국 통신사와 1 대 1 매칭
미래부와 정보통신진흥협회는 WIS 2015의 부대 행사로 국내 ICT 기업의 개발도상국 시장 진출을 위해 ‘글로벌 ICT 파트너십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대만 베트남 말레이시아 방글라데시 태국 인도네시아 등 6개국의 주요 15개 통신사를 초청해 국내 기업과 1 대 1 비즈니스 매칭을 지원한다. 이들의 관심 분야는 모바일 결제, 와이파이 서비스, 인터넷TV(IPTV), 광통신 케이블 및 기기, 네트워크 보안, e러닝, IoT, 클라우드 등이다.
지난해 행사 때 참여한 해외 5개 통신사와 국내 기업 간 글로벌 파트너십 양해각서(MOU) 서명식도 열린다. 총 투자금액만 1700만달러에 달한다. 국내 e러닝 전문회사인 빅스타글로벌은 베트남 통신사 두 곳과 교육 단말기 및 현지화 서비스 추진을 위한 3자 글로벌 파트너십 MOU를 체결할 계획이다. 모가씨엔디는 인도네시아 통신 협력사와 한국 콘텐츠 전송권 및 콘텐츠 유통에 대한 공급 계약을 맺을 예정이다. 이번 WIS에서도 적잖은 수출 성과가 기대되고 있다. 지난해 WIS에서는 총 1억달러에 달하는 상담 실적을 기록했다. 일반인 관람은 30일에 가능
전시관은 ‘초연결 세상’이란 콘셉트에 맞춰 최근 ICT 업계의 흐름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테마와 스토리가 있는 전시회를 구성하기 위해 △IoT △클라우드 컴퓨팅 △핀테크 △드론&스마트카 △3D 프린터 등 5개의 ‘전시공간(pavillion)’을 배치했다.
행사 개막일인 27일부터 29일까지는 전시회 참가 업체와 바이어들이 상담하고 행사를 살펴볼 수 있는 ‘비즈니스 데이’다. 행사 마지막 날인 30일은 일반인 누구나 관람할 수 있으며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문을 연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