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미분양 4개월 연속 감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방·중대형 물량 속속 팔려
분양 쏟아진 수도권은 소폭 증가
분양 쏟아진 수도권은 소폭 증가
전셋값 상승에 따른 내집 마련 수요와 부동산 경기 회복 기대감이 맞물리면서 지난달에도 미분양 주택 감소세가 이어졌다. 분양 물량이 늘어난 수도권에선 미분양 주택이 4개월 만에 증가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4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이 2만8093가구로 전달보다 2.8%(804가구) 줄었다고 28일 발표했다.
미분양 주택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9월 16만5599가구로 최고점을 찍은 뒤 감소하고 있다. 올 들어서도 1월(3만6985가구) 2월(3만3813가구) 3월(2만8897가구) 등으로 계속 줄었다.
하지만 최근 공급이 늘고 있는 수도권의 미분양 주택은 3월(1만4195가구)보다 2.2%(315가구) 증가한 1만4510가구로 집계됐다. 기존 미분양이 2039가구 줄었지만 새 아파트 미분양이 2354가구 늘어난 결과라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분양시장이 호조세를 띠고 있는 지방은 3월(1만4702가구) 대비 7.6%(1119가구) 감소한 1만3583가구로 나타났다. 지방 미분양은 4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주택 규모별로는 전용 85㎡ 초과 중대형 주택과 85㎡ 이하 중소형 주택 모두 미분양이 줄었다. 지난달 중대형 미분양 주택은 9278가구로, 전달보다 759가구 감소했다. 중소형 미분양 주택은 45가구 줄어든 1만8815가구였다.
입주 후에도 집주인을 찾지 못해 ‘악성 미분양’으로 꼽히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1만2638가구로 전달보다 6.4%(869가구) 줄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
미분양 주택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9월 16만5599가구로 최고점을 찍은 뒤 감소하고 있다. 올 들어서도 1월(3만6985가구) 2월(3만3813가구) 3월(2만8897가구) 등으로 계속 줄었다.
하지만 최근 공급이 늘고 있는 수도권의 미분양 주택은 3월(1만4195가구)보다 2.2%(315가구) 증가한 1만4510가구로 집계됐다. 기존 미분양이 2039가구 줄었지만 새 아파트 미분양이 2354가구 늘어난 결과라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분양시장이 호조세를 띠고 있는 지방은 3월(1만4702가구) 대비 7.6%(1119가구) 감소한 1만3583가구로 나타났다. 지방 미분양은 4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주택 규모별로는 전용 85㎡ 초과 중대형 주택과 85㎡ 이하 중소형 주택 모두 미분양이 줄었다. 지난달 중대형 미분양 주택은 9278가구로, 전달보다 759가구 감소했다. 중소형 미분양 주택은 45가구 줄어든 1만8815가구였다.
입주 후에도 집주인을 찾지 못해 ‘악성 미분양’으로 꼽히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1만2638가구로 전달보다 6.4%(869가구) 줄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