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에 700 내준 코스닥…테마주만 판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수 이틀 연속 1% 이상 하락…백신주 상·하한가 '널뛰기'
바이오주 단타매매 극성…거래량 20~30배 폭증
코스피도 사흘간 51P 급락…엔저에 대형 수출주 약세
바이오주 단타매매 극성…거래량 20~30배 폭증
코스피도 사흘간 51P 급락…엔저에 대형 수출주 약세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과 엔저의 충격이 국내 주식시장을 뒤흔들고 있다. 메르스 관련주가 많은 코스닥시장은 3일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이다가 700선 아래로 미끄러졌다. 백신주 같은 메르스 테마주는 단타(단기매매) 세력이 몰려 주가가 급등락하는 등 ‘널뛰기’ 움직임을 보였다.
이틀째 1%대 하락한 코스닥
이날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1.11%(7.8포인트) 하락한 696.97로 장을 마쳤다. 이틀 연속 1% 이상 떨어졌다. 장 초반 약세로 시작해 693.27(전날 대비 -1.63%)까지 밀렸다가 상승세로 돌아서 710.97(+0.87%)로 오르기도 했다. 외국인과 기관투자가가 각각 376억원, 181억원어치를 순매수했지만 개인이 541억원을 팔면서 결국 하락한 채 마감했다.
코스닥의 변동성이 커진 것은 메르스 관련주가 몰려 있는 시장 구조 때문이다. 시가총액 상위권에 요우커(중국인 관광객) 관련주가 포진해 있다. 파라다이스(시총 5위), 메디톡스(6위), 산성앨엔에스(8위) 등이 대표적이다. 시총 중하위권에도 중국 및 백신 관련주가 많다. 오현석 삼성증권 투자전략센터장은 “메르스가 급속도로 확산하면서 코스닥시장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됐다”며 “오는 15일 가격제한폭 확대(±30%)를 앞두고 주가가 부담스러운 화장품 바이오주에 대해 차익을 실현하려는 분위기도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코스닥시장 시총 1위이자 바이오업종 ‘대장주’인 셀트리온은 이날 6.18% 하락했다.
코스피지수는 0.74%(15.48포인트) 내린 2063.16으로 마감했다. 개인과 기관이 매물을 쏟아내 장중 한때 2059.34까지 밀리며 2060선을 내주기도 하는 등 변동성이 심했다. 사흘 연속 하락했으며, 이 기간 낙폭이 51.64포인트에 이른다. 엔저 등에 따른 수출 부진 우려가 커지면서 삼성전자(-2.3%), SK하이닉스(-2.73%) 등 시가총액이 큰 대형주들이 대부분 약세를 보였다.
투기로 들썩인 메르스 테마주
백신주 등 이른바 메르스 테마주는 상한가와 하한가 언저리를 오르내릴 정도로 큰 폭의 변동성을 보였다. 거래량은 평소보다 20~30배 폭증했다. 최근 며칠간 ‘묻지마 급등세’를 나타내자 단타매매로 차익을 노리는 투기자금이 몰린 영향이다.
지난 2일까지 사흘 연속 상한가를 쳤던 백신업체 이-글벳은 이날 2.8% 떨어진 6260원으로 마감했다. 장중 한때 12.57% 급등했다가 하한가까지 밀리는 등 요동쳤다. 이-글벳의 이날 거래량은 3150만주로 평균 거래량(최근 25일 기준)에 비해 3663.6% 급증했다. 총 발행주식 수(1166만주)의 3배 가까운 물량이 이날 하루 거래됐다.
역시 사흘째 상한가를 기록했던 제일바이오도 이날 장중 10.68% 뛰었다가 10.04% 하락한 6990원에 장을 마쳤다. 바이오니아, 진원생명과학, 중앙백신 등은 하한가로 마감했다.
반면 유가증권시장에서 이틀 연속 하락했던 아모레퍼시픽은 2.97% 상승한 38만1000원으로 마감했다. 전날 8.87% 급락했던 하나투어도 1.77% 오른 11만5000원에 장을 마쳤다.
이고운/민지혜 기자 ccat@hankyung.com
이날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1.11%(7.8포인트) 하락한 696.97로 장을 마쳤다. 이틀 연속 1% 이상 떨어졌다. 장 초반 약세로 시작해 693.27(전날 대비 -1.63%)까지 밀렸다가 상승세로 돌아서 710.97(+0.87%)로 오르기도 했다. 외국인과 기관투자가가 각각 376억원, 181억원어치를 순매수했지만 개인이 541억원을 팔면서 결국 하락한 채 마감했다.
코스닥의 변동성이 커진 것은 메르스 관련주가 몰려 있는 시장 구조 때문이다. 시가총액 상위권에 요우커(중국인 관광객) 관련주가 포진해 있다. 파라다이스(시총 5위), 메디톡스(6위), 산성앨엔에스(8위) 등이 대표적이다. 시총 중하위권에도 중국 및 백신 관련주가 많다. 오현석 삼성증권 투자전략센터장은 “메르스가 급속도로 확산하면서 코스닥시장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됐다”며 “오는 15일 가격제한폭 확대(±30%)를 앞두고 주가가 부담스러운 화장품 바이오주에 대해 차익을 실현하려는 분위기도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코스닥시장 시총 1위이자 바이오업종 ‘대장주’인 셀트리온은 이날 6.18% 하락했다.
코스피지수는 0.74%(15.48포인트) 내린 2063.16으로 마감했다. 개인과 기관이 매물을 쏟아내 장중 한때 2059.34까지 밀리며 2060선을 내주기도 하는 등 변동성이 심했다. 사흘 연속 하락했으며, 이 기간 낙폭이 51.64포인트에 이른다. 엔저 등에 따른 수출 부진 우려가 커지면서 삼성전자(-2.3%), SK하이닉스(-2.73%) 등 시가총액이 큰 대형주들이 대부분 약세를 보였다.
투기로 들썩인 메르스 테마주
백신주 등 이른바 메르스 테마주는 상한가와 하한가 언저리를 오르내릴 정도로 큰 폭의 변동성을 보였다. 거래량은 평소보다 20~30배 폭증했다. 최근 며칠간 ‘묻지마 급등세’를 나타내자 단타매매로 차익을 노리는 투기자금이 몰린 영향이다.
지난 2일까지 사흘 연속 상한가를 쳤던 백신업체 이-글벳은 이날 2.8% 떨어진 6260원으로 마감했다. 장중 한때 12.57% 급등했다가 하한가까지 밀리는 등 요동쳤다. 이-글벳의 이날 거래량은 3150만주로 평균 거래량(최근 25일 기준)에 비해 3663.6% 급증했다. 총 발행주식 수(1166만주)의 3배 가까운 물량이 이날 하루 거래됐다.
역시 사흘째 상한가를 기록했던 제일바이오도 이날 장중 10.68% 뛰었다가 10.04% 하락한 6990원에 장을 마쳤다. 바이오니아, 진원생명과학, 중앙백신 등은 하한가로 마감했다.
반면 유가증권시장에서 이틀 연속 하락했던 아모레퍼시픽은 2.97% 상승한 38만1000원으로 마감했다. 전날 8.87% 급락했던 하나투어도 1.77% 오른 11만5000원에 장을 마쳤다.
이고운/민지혜 기자 cca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