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르스 유전자검사는 어떻게… > 김성순 질병관리본부 호흡기바이러스 과장이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메르스 정례브리핑’에서 메르스 유전검사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 메르스 유전자검사는 어떻게… > 김성순 질병관리본부 호흡기바이러스 과장이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메르스 정례브리핑’에서 메르스 유전검사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원순 서울시장이 지난 4일 밤 긴급 기자회견에서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대형종합병원 의사 A씨(38)가 갔던 대형 행사 참석자 1565명을 자택격리하겠다고 발표한 것에 대해 논란이 커지고 있다. 박 시장이 발표한 일부 사실에 대해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이 5일 공식 반박했고, 해당 의사도 언론 인터뷰를 통해 적극 해명했다. 서울시와 복지부, 해당 의사가 ‘진실게임’을 벌이는 양상이다.
[메르스 사태] 박원순 "정부, 정보 공개 안해" vs 문형표 "SNS 통해 실시간 공유"
(1) A씨 메르스 사실 언제 알았나

정부는 지난달 31일 전까지는 몰랐다. A씨는 27일 병원으로 이송돼온 14번 환자와 40분가량 같은 응급실에 있었던 인물이다. 복지부 역학조사관은 18일 조사과정에서 A씨를 밀접 접촉자로 분류하지 않았다. 정부 관리 대상에서 빠졌다. 주치의도 아니었고 직접 진료하지도 않았기 때문이다.

A씨 자신도 메르스 바이러스에 노출됐다는 사실을 몰랐다고 한다. 이 의사는 29일 평소와 다를 바 없이 회진을 돌았고, 30일 병원 심포지엄과 재건축조합총회에 참석했다. A씨는 다음날인 31일이 돼서야 27일 응급실에 왔던 환자 중에 메르스 확진자가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 자신이 바이러스에 노출됐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했고, 증상이 나타나자 스스로 병원에 검사와 격리를 요청했다.

이때서야 복지부는 A씨가 의심환자라는 사실을 파악했다. A씨는 “난 14번 환자를 진료하지도 않았고 14번째 감염환자가 누구인지, 어느 자리에 있었는지조차 몰랐다”며 “정치적으로 이용당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A씨도 희생자로 안타깝게 생각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2) 확진 시점 ‘6월1~2일 vs 4일’

격리된 A씨는 지난 1일 검사 후 2일 새벽에 메르스 양성 판정이 나왔다. 서울시가 확진일을 1~2일이라고 말한 것은 이 때문이다. 의사도 자신이 메르스로 확진됐다는 소식을 2일에 들었다고 밝혔다.

복지부도 2일 이 결과를 알았다. 하지만 재검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복지부는 “해당 병원에서 발생한 것이 최초의 사례이기 때문에 확실한 진단을 위해 재검을 하려고 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무슨 이유에서인지 복지부는 재검 도중 생각을 바꿨다. 이미 3일 이후 언론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양성 판정 결과가 흘러다니고 있는 상황이었다.

복지부 관계자는 “1차 검사 결과를 발표하기로 내부 결정을 내리고 4일 새벽에 발표했다”고 말했다. 복지부가 A씨 확진 시점을 4일이라고 말한 것은 이 발표 시점을 지칭한다.

(3) A씨 29~30일에 증상 있었나

서울시는 29일부터 A씨가 가벼운 기침과 미열 등 경미한 증상이 있었다고 밝혔다. 서울시가 복지부로부터 4일 제공받았던 A씨의 증상이다. 서울시가 공개한 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29일엔 ‘가벼운 기침’, 30일엔 ‘미열, 기침’이라고 적혀있다.

보통 바이러스는 증상이 나온 이후에 전염성을 갖는다고 알려졌다. 만약 복지부 자료대로 29일부터 메르스 증상이 발현됐다면 이때부터 다른 사람에게 옮겼을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A씨의 설명은 다르다. A씨는 31일 첫 증상을 느꼈다. 그전까지는 자신이 메르스에 걸릴 것이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다고 한다. 그는 “질병관리본부와 3시간가량 인터뷰하는 과정에서 ‘평소에 비염증상이 늘 있었다’고만 했지 ‘29일부터 가벼운 증상을 보였다’는 얘기는 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서울시가 사실관계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내가 메르스 증상을 알고도 사람들을 만나고 다닌 것처럼 브리핑했다”고 말했다.

(4) 정보 공유 제대로 됐나

서울시는 A씨의 이동 경로를 복지부로부터 미리 제공받지 못했다고 발표했다. 3일 밤 11시 복지부가 갑자기 회의를 소집했을 때 환자의 동선을 처음으로 알았다는 것이다. 이후 서울시는 복지부 장관과 질병관리본부장에게 신속한 정보공개를 요구했다. 그럼에도 4일 저녁 8시에서야 이동 경로 자료를 받았다는 게 서울시 주장이다.

반면 문 장관은 “환자에 대한 역학조사를 31일 실시했고 그 결과를 질병관리본부, 서울시 역학조사관 등과 단체 정보공유 SNS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했다”며 “서울시도 이를 통해 환자 발생 정보를 파악했기 때문에 관련 사실을 알고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SNS를 통해 환자 동선에 대해 사전에 정보를 전달받은 바 없다. 역학조사관은 중앙역학조사단 일원으로 참여한 것으로 서울시에 정보를 제공할 책임이 없다”고 재반박했다.

고은이/강경민 기자 k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