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말 서울시와 대전시, 세종시의 지하공간에 대한 통합지도가 만들어진다.

8일 국토교통부 관계자에 따르면 국토부는 서울 송파구, 대전 유성구, 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신도시) 지역 등 3곳을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 시범사업' 대상지로 정하고 각 지방자치단체와 협의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송파구는 최근 싱크홀이 반복 발생해 주민 불안이 커서 애초부터 시범사업지로 논의됐다"며 "행복도시는 행복청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이미 '3차원 공간정보지도'를 만들고 있어 이를 국토부 기준에 맞춰 작성하도록 해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유성구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주관하는 '지하공간 안전관리 모니터링 기술개발사업'의 테스트 베드(Test Bed)여서 해당 지역에 통합지도를 구축하면 시너지 효과가 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ETRI 사업은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해 지하공간의 상황을 감지·예측·대응할 수 있는 모니터링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국토부는 올해 말까지 시범사업을 마치고 특별시와 광역시는 2017년, 다른 시급 지자체에 대해서는 2019년까지 지하공간 통합지도를 만들 예정이다. 이 사업에는 5년간 총 290억원이 투입된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