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담화, 사죄와 반성 다시·명확히 담아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 등 일본 지식인 281명의 성명
8월 한·일 50년, 전후 70년 담화
고노·무라야마 담화 계승 확인
위안소, 日 국가 책임 인정해야
8월 한·일 50년, 전후 70년 담화
고노·무라야마 담화 계승 확인
위안소, 日 국가 책임 인정해야
일본 지식인 281명이 8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전후 70년 담화에 사죄와 반성을 명확히 표현하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설 것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 등 일본 지식인 281명은 이날 일본 참의원회관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15년 한·일 역사문제에 관해 일본의 지식인이 성명한다’는 제목의 성명서를 내놨다. 아베 총리는 한·일 수교 50주년이자 전후 70년인 올해 8월께 이른바 ‘아베 담화’를 발표할 예정이다. 아베 총리의 담화 작성을 위한 사적 자문기관인 ‘21세기 구상 간담회’는 지난달 22일 ‘일방적 사죄’는 반대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성명서는 아베 전후 70주년 담화에 대해 “고노(河野) 담화, 무라야마(村山) 담화, 간 나오토(菅直人) 담화 등 그간 일본 정부의 역사문제 담화의 계승을 확인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아시아 여러 나라에 대한 침략과 식민지배가 중국, 한국 등 아시아 이웃 여러 나라 사람들에게 손해와 고통을 초래했다는 것을 재확인하고 반성과 사죄의 마음을 다시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들 지식인은 한·일 간 여러 역사 문제 중 가장 해결이 시급한 것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꼽았다. 성명서는 “위안소의 설치·운영·관리는 민간업자가 아니라 바로 일본군이 주체가 돼 했다는 것이 더욱 명백해졌다”며 일본이 국가 책임을 인정할 것을 촉구했다. 고노 담화에 근거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게 사죄하고 속죄한다는 뜻을 담아 1995년 시작된 아시아여성기금 사업에 관해서는 “한국 정부가 인정한 피해자의 3분의 2 이상이 기금이 지급하는 돈을 거부했으며 이런 점 등을 고려할 때 일본 정부의 사죄사업이 한국에서는 미완”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성명에는 와다 명예교수, 미즈노 나오키 교토대 교수, 하야시 히로후미 간토가쿠인대 교수, 이시자카 고이치 릿교대 준교수 등 17명이 발기인으로 나섰고 한반도 전문가를 중심으로 281명이 참가했다.
최근 일본 내에서는 양심 있는 학자와 지식인들의 성명이 잇따르고 있다. 지난달 25일 일본 16개 역사 연구단체가 아베 정부의 위안부 문제에 대한 왜곡 중단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한 데 이어 지난 3일 헌법연구자 173명은 집단적 자위권 행사와 관련된 안보 법안이 헌법 9조에 위배된다며 법안 폐기를 요구했다.
도쿄=서정환 특파원 ceoseo@hankyung.com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 등 일본 지식인 281명은 이날 일본 참의원회관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15년 한·일 역사문제에 관해 일본의 지식인이 성명한다’는 제목의 성명서를 내놨다. 아베 총리는 한·일 수교 50주년이자 전후 70년인 올해 8월께 이른바 ‘아베 담화’를 발표할 예정이다. 아베 총리의 담화 작성을 위한 사적 자문기관인 ‘21세기 구상 간담회’는 지난달 22일 ‘일방적 사죄’는 반대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성명서는 아베 전후 70주년 담화에 대해 “고노(河野) 담화, 무라야마(村山) 담화, 간 나오토(菅直人) 담화 등 그간 일본 정부의 역사문제 담화의 계승을 확인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아시아 여러 나라에 대한 침략과 식민지배가 중국, 한국 등 아시아 이웃 여러 나라 사람들에게 손해와 고통을 초래했다는 것을 재확인하고 반성과 사죄의 마음을 다시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들 지식인은 한·일 간 여러 역사 문제 중 가장 해결이 시급한 것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꼽았다. 성명서는 “위안소의 설치·운영·관리는 민간업자가 아니라 바로 일본군이 주체가 돼 했다는 것이 더욱 명백해졌다”며 일본이 국가 책임을 인정할 것을 촉구했다. 고노 담화에 근거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게 사죄하고 속죄한다는 뜻을 담아 1995년 시작된 아시아여성기금 사업에 관해서는 “한국 정부가 인정한 피해자의 3분의 2 이상이 기금이 지급하는 돈을 거부했으며 이런 점 등을 고려할 때 일본 정부의 사죄사업이 한국에서는 미완”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성명에는 와다 명예교수, 미즈노 나오키 교토대 교수, 하야시 히로후미 간토가쿠인대 교수, 이시자카 고이치 릿교대 준교수 등 17명이 발기인으로 나섰고 한반도 전문가를 중심으로 281명이 참가했다.
최근 일본 내에서는 양심 있는 학자와 지식인들의 성명이 잇따르고 있다. 지난달 25일 일본 16개 역사 연구단체가 아베 정부의 위안부 문제에 대한 왜곡 중단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한 데 이어 지난 3일 헌법연구자 173명은 집단적 자위권 행사와 관련된 안보 법안이 헌법 9조에 위배된다며 법안 폐기를 요구했다.
도쿄=서정환 특파원 ceose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