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메르스 퇴치가 우선…빠른 시기로 방미 일정 재조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박근혜 대통령, 미국 방문 전격 연기
국민 불안 여전하자 朴대통령, 막판까지 고심
윤병세 외교, 美에 양해 구해
"內治 문제로 정상외교 미뤄…여론 정치 아니냐" 비판도
국민 불안 여전하자 朴대통령, 막판까지 고심
윤병세 외교, 美에 양해 구해
"內治 문제로 정상외교 미뤄…여론 정치 아니냐" 비판도
박근혜 대통령의 미국 방문 연기는 10일 오전 청와대 홍보수석이 발표하기 서너 시간 전에 전격 결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과 청와대 관계자들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전날 저녁까지도 고심을 거듭했다고 한다.
여권 관계자는 “참모들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확산 상황을 실시간으로 박 대통령에게 보고하면서 방미와 관련해 두 가지 선택지를 올렸고, 박 대통령은 일정을 축소하는 것과 아예 연기하는 두 가지 방안을 놓고 밤새 고민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청와대 내부에서는 메르스 사태가 좀체 진정되지 않자 애초 예정된 14~19일 방미 기간 중 한·미 정상회담이 있는 워싱턴 방문 일정은 그대로 소화하되, 두 번째 방문지인 휴스턴 일정(17~19일)을 취소하는 쪽으로 검토하자는 의견이 많았다.
박 대통령은 고민 끝에 ‘연기’로 결론 내리고 이날 아침 윤병세 외교부 장관에게 전달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윤 장관이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에게 전화를 걸어 국내 사정에 관해 이해를 구했고 미국 측이 동의해서 발표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연기가 급작스럽게 결정되는 바람에 새누리당 지도부도 뒤늦게 전달받았고, 김무성 대표는 아침 당 최고위원회 회의 뒤 “예정대로 가는 게 옳다는 주장이 많았다”며 “그 뜻을 청와대에 전달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박 대통령의 판단에는 무엇보다 메르스 사태 진행 상황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게 청와대 참모들의 얘기다. 한 참모는 “하루 사이 23명에 달했던 메르스 추가 확진자가 8~9일 한 자릿수로 줄었다가 9~10일 다시 두 자릿수로 늘어나면서 정점을 지났다는 확신이 들지 않은 점이 가장 큰 부담 요인이었다”며 “이런 상황에서 국민 안전에 직결된 문제를 놔두고 대통령이 자리를 비울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말했다.
메르스 사태의 초동 대응 실패로 박 대통령의 지지율이 1주일 새 6%포인트 이상 하락하는 등 현 정권의 위기 대응 부실에 대한 여론이 급속히 악화하고 있다는 것도 연기를 결정하게 된 배경이라는 관측도 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최근 미·일 간의 ‘신밀월’ 시대 개막 등 급변하는 동북아 정세 속에 국익 차원에서 중요한 전기가 될 수 있는 한·미 정상외교를 내치(內治) 문제를 이유로 뒷전으로 미룬 것을 두고 박 대통령이 ‘여론정치’로 돌아선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이번 미국 방문에서는 불안한 한반도 상황에서 굳건한 한·미 동맹을 확인하는 것은 물론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과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가입 문제, 온실가스 배출권 등 국제 기후변화 논의 대응 등 중대한 현안을 논의할 예정이었다. 또 박 대통령은 한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오해받고 있는 것에 대한 분명한 입장도 밝힐 계획이었다.
한편 앨리스터 배스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대변인은 이날 재방문 시점과 관련, “박 대통령이 앞으로 서로 편한 시기에 방미하기를 기대한다”며 “박 대통령이 방미해 한·미동맹과 지역안정 및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동맹의 역할을 논의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종태 기자 jtchung@hankyung.com
여권 관계자는 “참모들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확산 상황을 실시간으로 박 대통령에게 보고하면서 방미와 관련해 두 가지 선택지를 올렸고, 박 대통령은 일정을 축소하는 것과 아예 연기하는 두 가지 방안을 놓고 밤새 고민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청와대 내부에서는 메르스 사태가 좀체 진정되지 않자 애초 예정된 14~19일 방미 기간 중 한·미 정상회담이 있는 워싱턴 방문 일정은 그대로 소화하되, 두 번째 방문지인 휴스턴 일정(17~19일)을 취소하는 쪽으로 검토하자는 의견이 많았다.
박 대통령은 고민 끝에 ‘연기’로 결론 내리고 이날 아침 윤병세 외교부 장관에게 전달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윤 장관이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에게 전화를 걸어 국내 사정에 관해 이해를 구했고 미국 측이 동의해서 발표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연기가 급작스럽게 결정되는 바람에 새누리당 지도부도 뒤늦게 전달받았고, 김무성 대표는 아침 당 최고위원회 회의 뒤 “예정대로 가는 게 옳다는 주장이 많았다”며 “그 뜻을 청와대에 전달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박 대통령의 판단에는 무엇보다 메르스 사태 진행 상황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게 청와대 참모들의 얘기다. 한 참모는 “하루 사이 23명에 달했던 메르스 추가 확진자가 8~9일 한 자릿수로 줄었다가 9~10일 다시 두 자릿수로 늘어나면서 정점을 지났다는 확신이 들지 않은 점이 가장 큰 부담 요인이었다”며 “이런 상황에서 국민 안전에 직결된 문제를 놔두고 대통령이 자리를 비울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말했다.
메르스 사태의 초동 대응 실패로 박 대통령의 지지율이 1주일 새 6%포인트 이상 하락하는 등 현 정권의 위기 대응 부실에 대한 여론이 급속히 악화하고 있다는 것도 연기를 결정하게 된 배경이라는 관측도 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최근 미·일 간의 ‘신밀월’ 시대 개막 등 급변하는 동북아 정세 속에 국익 차원에서 중요한 전기가 될 수 있는 한·미 정상외교를 내치(內治) 문제를 이유로 뒷전으로 미룬 것을 두고 박 대통령이 ‘여론정치’로 돌아선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이번 미국 방문에서는 불안한 한반도 상황에서 굳건한 한·미 동맹을 확인하는 것은 물론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과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가입 문제, 온실가스 배출권 등 국제 기후변화 논의 대응 등 중대한 현안을 논의할 예정이었다. 또 박 대통령은 한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오해받고 있는 것에 대한 분명한 입장도 밝힐 계획이었다.
한편 앨리스터 배스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대변인은 이날 재방문 시점과 관련, “박 대통령이 앞으로 서로 편한 시기에 방미하기를 기대한다”며 “박 대통령이 방미해 한·미동맹과 지역안정 및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동맹의 역할을 논의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종태 기자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