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병국 질병관리본부장은 11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의 3차 유행을 촉발시킬 '슈퍼전파자 위험환자'로 3명을 후보로 보고 추이를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다.

양 본부장은 이날 국회 메르스대책 특위에 참석해 이같이 설명했다.

그는 김영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삼성서울병원을 중심으로 메르스 바이러스가 옮은 사람들의 잠복기가 곧 끝난다고 지적하며 "평택성모병원을 중심으로 한 1차 유행, 삼성서울병원을 중심으로 한 2차유행에 이어 이제 3차 '슈퍼전파자'가 있느냐가 고비"라고 말하자 "그렇다"고 답했다.

김 의원이 "3차 슈퍼전파자로 가능성이 제기된 사람이 대전 을지병원에서 사망한 90번 환자냐"고 묻자 "후보 중 하나"라고 답했다.

다른 후보 환자들이 누구냐는 질문에는 "두 군데 (병원 환자)가 더 있다"면서 "서울 양천구 메디힐 병원, 경남 창원 SK 병원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답했다.

삼성서울병원에서 감염된 90번 환자는 자택 격리 중이던 지난 3일 발열로 충북 옥천제일의원에서 진료를 받았고, 6일 호흡곤란으로 옥천성모병원을 방문한 데 이어 대전 을지대학교병원서 치료를 받던 중 사망했다.

메디힐 병원의 경우 98번 환자가 입원하면서 242명의 접촉자가 발생한 만큼, 양 본부장의 언급은 이 환자를 통한 전파를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창원SK병원의 경우 지난달 28일 삼성서울병원에서 정형외과 외래진료를 받아 메르스에 감염된 후 이달 5~10일 이 병원에 입원한 115번 환자를 지목한 것으로 보인다.

이 환자는 창원 SK 병원에서 입원한 사이 의료진, 병원 환자 등 549명을 접촉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현재 이 병원은 임시 폐쇄조치된 상태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