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의사 상태, 에크모 착용중…위독한 상태인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메르스 의사 상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에 감염된 삼성서울병원 의사인 35번 환자(38)가 뇌사 상태라는 보도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11일 오후 8시 30분경 한 매체는 일명 메르스 의사가 뇌사 상태에 있다가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해명 자료를 통해 “35번 환자는 뇌사 상태가 아니다. 호흡 곤란이 있어 적절한 치료를 받고 있고 생명이 위독한 상황은 아님을 주치의를 통해 확인했다”고 밝혔다.
서울대병원 고위 관계자는 한 매체와의 통화에서 "인공 호흡기를 착용한 상황이어서 호흡을 막기 위해 인위적으로 수면제를 투여해 재운 상태"라며 "상태가 좋은 것은 아니지만 알려진 것처럼 뇌사를 논할 단계는 전혀 아니다"고 설명했다. 급성 호흡부전 상태여서 현재 환자에게 에크모를 적용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에크모는 흉부 밖의 혈관을 통해 혈액의 출구 및 입구를 확보한 후, 인공 폐와 혈액 펌프로 심폐기능을 보조하는 치료 기술을 말한다.
메르스 의사는 지난 8일부터 왼쪽 폐의 폐렴증상이 악화돼 산소호흡기를 착용하고 있었으며, 이후 산소마스크로는 충분한 산소를 공급할 수 없어 기도 삽관까지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에 감염된 삼성서울병원 의사인 35번 환자(38)가 뇌사 상태라는 보도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11일 오후 8시 30분경 한 매체는 일명 메르스 의사가 뇌사 상태에 있다가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해명 자료를 통해 “35번 환자는 뇌사 상태가 아니다. 호흡 곤란이 있어 적절한 치료를 받고 있고 생명이 위독한 상황은 아님을 주치의를 통해 확인했다”고 밝혔다.
서울대병원 고위 관계자는 한 매체와의 통화에서 "인공 호흡기를 착용한 상황이어서 호흡을 막기 위해 인위적으로 수면제를 투여해 재운 상태"라며 "상태가 좋은 것은 아니지만 알려진 것처럼 뇌사를 논할 단계는 전혀 아니다"고 설명했다. 급성 호흡부전 상태여서 현재 환자에게 에크모를 적용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에크모는 흉부 밖의 혈관을 통해 혈액의 출구 및 입구를 확보한 후, 인공 폐와 혈액 펌프로 심폐기능을 보조하는 치료 기술을 말한다.
메르스 의사는 지난 8일부터 왼쪽 폐의 폐렴증상이 악화돼 산소호흡기를 착용하고 있었으며, 이후 산소마스크로는 충분한 산소를 공급할 수 없어 기도 삽관까지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