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엘리엇과 표대결 이기기 쉽지 않다"-한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화투자증권은 15일 삼성그룹이 다음달 17일 열리는 제일모직과 삼성물산 합병 주주총회 표대결에서 이기는 것은 쉽지 않다고 판단했다.
이 증권사 김철범 리서치센터장과 이상원 연구원은 "현재 상황에서 삼성 측의 삼성물산 우호지분이 19.8%인데 비해, 7.1%를 보유한 엘리엇 측에 우호적일 것으로 보이는 외국인 투자자의 지분은 26.7%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10.2%의 지분을 가진 국민연금 역시 어떤 태도를 취할지도 유동적이란 판단이다.
이들은 "합병이 성사돼도 해외 소송까지 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삼성 측이 이번 합병을 포기할 수도 있다"며 "해외 소송에서 합병비율을 자산 기준으로 산정하게 된다면 엘리엇의 손해배상 청구액은 2조~3조원에 달할 수 있다"고 했다.
이에 비해 삼성 측이 삼성물산 지분을 추가로 10%포인트 늘리는 데 드는 비용은 1조원 수준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합병 무산시 삼성물산 주주에게는 보유 전략을 추천했다. 삼성물산의 저평가 매력이 부각되고 있고, 이로 인해 가치의 정상화가 진행돼 향후 상승여력이 40%에 이를 것으로 분석되기 때문이다. 반면 제일모직 주가는 합병발표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전망이라, 현 수준에서는 차익실현 전략이 유리하다고 봤다.
합병 성사시에는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주주 모두 차익실현에 나설 것을 제안했다. 합병법인 주가의 상승여력이 일반 지주회사 주가수준을 적용하면 -8.6%며, 시장의 실적추정 평균값을 적용해도 상승여력이 5.0%에 불과하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한민수 한경닷컴 기자 hms@hankyung.com
이 증권사 김철범 리서치센터장과 이상원 연구원은 "현재 상황에서 삼성 측의 삼성물산 우호지분이 19.8%인데 비해, 7.1%를 보유한 엘리엇 측에 우호적일 것으로 보이는 외국인 투자자의 지분은 26.7%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10.2%의 지분을 가진 국민연금 역시 어떤 태도를 취할지도 유동적이란 판단이다.
이들은 "합병이 성사돼도 해외 소송까지 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삼성 측이 이번 합병을 포기할 수도 있다"며 "해외 소송에서 합병비율을 자산 기준으로 산정하게 된다면 엘리엇의 손해배상 청구액은 2조~3조원에 달할 수 있다"고 했다.
이에 비해 삼성 측이 삼성물산 지분을 추가로 10%포인트 늘리는 데 드는 비용은 1조원 수준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합병 무산시 삼성물산 주주에게는 보유 전략을 추천했다. 삼성물산의 저평가 매력이 부각되고 있고, 이로 인해 가치의 정상화가 진행돼 향후 상승여력이 40%에 이를 것으로 분석되기 때문이다. 반면 제일모직 주가는 합병발표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전망이라, 현 수준에서는 차익실현 전략이 유리하다고 봤다.
합병 성사시에는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주주 모두 차익실현에 나설 것을 제안했다. 합병법인 주가의 상승여력이 일반 지주회사 주가수준을 적용하면 -8.6%며, 시장의 실적추정 평균값을 적용해도 상승여력이 5.0%에 불과하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한민수 한경닷컴 기자 hm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