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호 칼럼] 도요타는 '성과월급제'까지 도입한다는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월말 성과평가…다음달 급여에 반영
월급 매달 다르고 임금격차 더 커져
현대차 노조, 호봉제 폐지도 반대하니
김정호 수석논설위원
월급 매달 다르고 임금격차 더 커져
현대차 노조, 호봉제 폐지도 반대하니
김정호 수석논설위원
참 대단한 기업이다. 일본 도요타자동차 말이다. 흔들림 없는 세계 1위라는 점도 그렇지만, 그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끝없이 혁신하는 자세가 감탄스러울 뿐이다. 그런 도요타가 며칠 전 또 다른 혁신을 노동조합에 제안했다. 공장 근로자들의 성과를 매달 평가해 월급에 반영하는 제도다. 평가에 따라 월급이 매달 달라지는, 말하자면 ‘성과월급제’다. 시행은 내년 1월이다.
연공서열식 호봉제가 근간을 이뤄온 일본도 이젠 성과연봉제가 대세라지만 성과월급제를 도입한 기업은 없다. 일본 산업계가 ‘성과급 제도의 완결판’이라며 깊은 관심을 보이는 이유다.
제도를 도입하면 월급이 얼마나 차이 날까. 평가 등급은 ‘정상적으로 일하는 자세’를 제로(0)로 하고 +3~-2까지 여섯 단계다. 최고 점수인 +3을 받으면 10만엔을 얹어 주고, -2면 5만엔을 준다. 최대 5만엔, 우리 돈으로 약 50만원 차이다. 이미 성과연봉제다. 성과월급제가 더해지면 격차는 상상을 초월한다.
월간 성과는 어떻게 평가할까. 기준은 규율성 협조성 적극성 책임성 등 네 가지다. 규칙은 잘 지키는지, 다른 근로자들과 잘 협력하는지, 자발적으로 업무를 대하는지, 임무를 제대로 수행하는지를 관리자가 현장 감독자와 협의해 평가한다. 평가 항목과 방법이 근로자에게 유리할 리 없다. 우리 같으면 당장 머리띠를 맬 일이지만 도요타 노사의 생각은 다르다. 경쟁력 강화를 위해 능력을 발휘하는 근로자에게 성과를 보상하고, 그렇지 못한 근로자에겐 분발을 촉구하는 제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노조도 반대하지 않는 까닭이다.
국내로 고개를 돌려보자. 도요타의 경쟁사인 현대자동차는 어떤가. 여전히 후진적 호봉제다. 생산 현장에서 같은 일을 해도 근속 연수가 많으면 임금을 더 받는 회사다. 초일류 기업일 수 없다. 생산성은 낮은데 평균 임금은 1억원에 육박한다. 그런데도 성과와 무관하게 매년 임금을 올려달라고 파업이다.
현대차가 임금체계의 개선을 고민하지 않은 건 아니다. 회사는 올해 초 연공서열에 따른 호봉제를 폐지하고 직무성과급 제도를 도입해야겠다는 뜻을 노조에 전달했다. 다소 온건하다는 현 노조와 임금체계개선위원회를 구성해 토론도 하고 해외 경쟁사에도 가봤다. 그러나 그 이상은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했다. 10개가 넘는 현장 노동계파들이 통상임금 논란을 계기로 노조를 흔들어대고 있어서다. 게다가 임금협상과 노조위원장 선거가 겹쳤다. 임금체계 개선 논의가 끼어들 틈이 없다.
극적으로 호봉제 폐지에 성공했다고 하자. 그래 봐야 도요타에 비하면 초보 단계다. 도요타가 호봉제를 없앤 건 벌써 15년 전이다. 2000년 기본급은 성과급과 직무급으로 바뀌었다. 2004년에는 연령급을 아예 폐지하고 숙련급과 생산성급을 추가했다. 그 결과 도요타의 연봉은 연간 한 차례 인사고과로 결정되는 직능기준급과 직능개인급이 각각 30%, 1년에 두 차례 평가를 기준으로 하는 성과급과 숙련급이 각각 20%로 구성돼 있다. 나이나 근속 연수는 고려 대상이 아니다.
도요타는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생애주기에서 지출이 많은 시기에 있는 근로자들의 임금은 올려주고, 고령 근로자들의 임금은 억제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임금피크제와 같은 개념이다.
글로벌 자동차회사들은 모두 직무의 중요도와 난이도, 작업환경 숙련도, 업무강도 등을 고려해 생산직 근로자 임금의 등급을 세분화한다. 호봉제는 현대·기아차가 유일하다. 경쟁력이 그만큼 떨어진다.
현대차 주가는 13만원 선이다. 지난해의 반토막이다. 그게 지금 현대차의 가치다. 비용은 비용대로 먹히고 생산성은 바닥이다. 그동안 환율로 버텨 왔는데 이제는 거꾸로 환율에 치여 곤욕을 치르고 있다. 그런데도 노조는 법원 판결은 모르겠다며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시켜달라고 떼를 쓴다. 노조위원장 자리를 놓고 10여개 계파가 벌이는 이전투구 탓에 근로 현장은 아수라판이다. 출근 목적이 노조 활동인 사람들로 버글버글하는 곳이 현대차, 기아차다. 이런 저급한 노동 의식에 회사의 지속가능성이 자리 잡을 곳은 없다. 그저 도요타의 영원한 하수일 뿐이다.
김정호 수석논설위원
연공서열식 호봉제가 근간을 이뤄온 일본도 이젠 성과연봉제가 대세라지만 성과월급제를 도입한 기업은 없다. 일본 산업계가 ‘성과급 제도의 완결판’이라며 깊은 관심을 보이는 이유다.
제도를 도입하면 월급이 얼마나 차이 날까. 평가 등급은 ‘정상적으로 일하는 자세’를 제로(0)로 하고 +3~-2까지 여섯 단계다. 최고 점수인 +3을 받으면 10만엔을 얹어 주고, -2면 5만엔을 준다. 최대 5만엔, 우리 돈으로 약 50만원 차이다. 이미 성과연봉제다. 성과월급제가 더해지면 격차는 상상을 초월한다.
월간 성과는 어떻게 평가할까. 기준은 규율성 협조성 적극성 책임성 등 네 가지다. 규칙은 잘 지키는지, 다른 근로자들과 잘 협력하는지, 자발적으로 업무를 대하는지, 임무를 제대로 수행하는지를 관리자가 현장 감독자와 협의해 평가한다. 평가 항목과 방법이 근로자에게 유리할 리 없다. 우리 같으면 당장 머리띠를 맬 일이지만 도요타 노사의 생각은 다르다. 경쟁력 강화를 위해 능력을 발휘하는 근로자에게 성과를 보상하고, 그렇지 못한 근로자에겐 분발을 촉구하는 제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노조도 반대하지 않는 까닭이다.
국내로 고개를 돌려보자. 도요타의 경쟁사인 현대자동차는 어떤가. 여전히 후진적 호봉제다. 생산 현장에서 같은 일을 해도 근속 연수가 많으면 임금을 더 받는 회사다. 초일류 기업일 수 없다. 생산성은 낮은데 평균 임금은 1억원에 육박한다. 그런데도 성과와 무관하게 매년 임금을 올려달라고 파업이다.
현대차가 임금체계의 개선을 고민하지 않은 건 아니다. 회사는 올해 초 연공서열에 따른 호봉제를 폐지하고 직무성과급 제도를 도입해야겠다는 뜻을 노조에 전달했다. 다소 온건하다는 현 노조와 임금체계개선위원회를 구성해 토론도 하고 해외 경쟁사에도 가봤다. 그러나 그 이상은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했다. 10개가 넘는 현장 노동계파들이 통상임금 논란을 계기로 노조를 흔들어대고 있어서다. 게다가 임금협상과 노조위원장 선거가 겹쳤다. 임금체계 개선 논의가 끼어들 틈이 없다.
극적으로 호봉제 폐지에 성공했다고 하자. 그래 봐야 도요타에 비하면 초보 단계다. 도요타가 호봉제를 없앤 건 벌써 15년 전이다. 2000년 기본급은 성과급과 직무급으로 바뀌었다. 2004년에는 연령급을 아예 폐지하고 숙련급과 생산성급을 추가했다. 그 결과 도요타의 연봉은 연간 한 차례 인사고과로 결정되는 직능기준급과 직능개인급이 각각 30%, 1년에 두 차례 평가를 기준으로 하는 성과급과 숙련급이 각각 20%로 구성돼 있다. 나이나 근속 연수는 고려 대상이 아니다.
도요타는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생애주기에서 지출이 많은 시기에 있는 근로자들의 임금은 올려주고, 고령 근로자들의 임금은 억제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임금피크제와 같은 개념이다.
글로벌 자동차회사들은 모두 직무의 중요도와 난이도, 작업환경 숙련도, 업무강도 등을 고려해 생산직 근로자 임금의 등급을 세분화한다. 호봉제는 현대·기아차가 유일하다. 경쟁력이 그만큼 떨어진다.
현대차 주가는 13만원 선이다. 지난해의 반토막이다. 그게 지금 현대차의 가치다. 비용은 비용대로 먹히고 생산성은 바닥이다. 그동안 환율로 버텨 왔는데 이제는 거꾸로 환율에 치여 곤욕을 치르고 있다. 그런데도 노조는 법원 판결은 모르겠다며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시켜달라고 떼를 쓴다. 노조위원장 자리를 놓고 10여개 계파가 벌이는 이전투구 탓에 근로 현장은 아수라판이다. 출근 목적이 노조 활동인 사람들로 버글버글하는 곳이 현대차, 기아차다. 이런 저급한 노동 의식에 회사의 지속가능성이 자리 잡을 곳은 없다. 그저 도요타의 영원한 하수일 뿐이다.
김정호 수석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