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려는 시설들에 강제 동원된 조선인 피해자가 1500여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일본 정부는 8개 현 23개 시설에 대해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신청했다. 이 중 이른바 ‘군함도’라 불리는 하시마 해저탄광 등 7곳은 조선인들이 끌려가 강제 노역을 하며 고초를 겪은 곳으로 알려졌다.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는 유네스코 등재 신청지에 있는 이들 시설을 운영한 5개 기업에 끌려가 희생된 조선인은 1516명으로 확인됐다고 17일 밝혔다.

5개 기업은 미쓰비시중공업의 나가사키조선소, 미쓰비시광업의 다카시마탄광·하시마탄광, 미쓰이광산의 미이케탄광, 신일본제철의 야하타제철소다. 위원회는 2005~2008년 국내외 강제동원 피해 신고를 받은 내용을 분석해 사실 확인과 서류 분석 등의 작업을 벌여 피해자를 판정했다.

이 중 현지에서 사망(94명)하거나 행방불명(6명)돼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한 조선인은 100명으로 집계됐다. 생존자 수는 신고를 마감한 2008년에는 356명이었지만, 고령인 피해자들이 잇달아 사망하면서 올해 2월 기준 94명으로 급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