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예퇴진 유도하는 김무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금 의총 열 때 아니다…정치적 절충 통해 풀어야"
靑과 보조…劉에 결단 기회
靑과 보조…劉에 결단 기회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의 거취를 놓고 청와대와 친박근혜(친박)계, 비박근혜(비박)계가 팽팽한 줄다리기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김무성 대표의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 원내대표 사퇴를 주장하는 친박계와 사퇴 반대를 외치는 비박계 사이에서 중재 역할을 하며 일종의 캐스팅 보트를 행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 대표는 30일 기자들과 만나 “지금은 의원총회를 열 때가 아니고 정치적으로 풀어야 한다”며 “세력 대결이나 정면충돌로 가선 안 되고 정치적 절충을 통해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의총을 열어 유 원내대표 사퇴 문제를 논의하면 친박과 비박 간 대결은 불가피하고, 당은 극심한 혼란에 빠지는 만큼 중재를 통해 해결하겠다는 뜻이다.
친박계를 중심으로 한 유 원내대표 즉각 사퇴론에 대해선 “유 원내대표도 중요한 정치 지도자 중 한 명인데 본인이 생각하고 결단할 수 있는 기회를 줘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유 원내대표가 대통령을 이길 수는 없고, 유 원내대표를 배신자로 낙인 찍어서 내보내는 것 또한 도리가 아니다”며 “스스로 결단을 내리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정치권에선 김 대표가 유 원내대표의 ‘명예 퇴진’을 유도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유 원내대표에게 사퇴하도록 하되 박근혜 대통령의 압박에 못 이겨 물러나는 모양새가 되지 않도록 적절한 시점을 택하게 하겠다는 것이다.
정치권에선 김 대표가 결국 청와대와 보조를 맞추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김 대표는 박 대통령이 위헌성이 강하다는 이유로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한 국회법 개정안과 관련해 “청와대가 위헌성이 있다고 하니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고 하는 등 청와대에 동조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여당이 대통령의 뜻을 거스르기는 어렵다는 것이 김 대표의 인식”이라고 말했다.
당 일각에선 김 대표가 청와대에 제 목소리를 못 낸다는 불만도 나오고 있다. 박 대통령이 여당 원내 사령탑을 직접 비판하는 등 국회와 당에 지나치게 개입하는 것에 대해 당 대표로서 당당하게 맞서야 한다는 것이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
김 대표는 30일 기자들과 만나 “지금은 의원총회를 열 때가 아니고 정치적으로 풀어야 한다”며 “세력 대결이나 정면충돌로 가선 안 되고 정치적 절충을 통해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의총을 열어 유 원내대표 사퇴 문제를 논의하면 친박과 비박 간 대결은 불가피하고, 당은 극심한 혼란에 빠지는 만큼 중재를 통해 해결하겠다는 뜻이다.
친박계를 중심으로 한 유 원내대표 즉각 사퇴론에 대해선 “유 원내대표도 중요한 정치 지도자 중 한 명인데 본인이 생각하고 결단할 수 있는 기회를 줘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유 원내대표가 대통령을 이길 수는 없고, 유 원내대표를 배신자로 낙인 찍어서 내보내는 것 또한 도리가 아니다”며 “스스로 결단을 내리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정치권에선 김 대표가 유 원내대표의 ‘명예 퇴진’을 유도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유 원내대표에게 사퇴하도록 하되 박근혜 대통령의 압박에 못 이겨 물러나는 모양새가 되지 않도록 적절한 시점을 택하게 하겠다는 것이다.
정치권에선 김 대표가 결국 청와대와 보조를 맞추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김 대표는 박 대통령이 위헌성이 강하다는 이유로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한 국회법 개정안과 관련해 “청와대가 위헌성이 있다고 하니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고 하는 등 청와대에 동조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여당이 대통령의 뜻을 거스르기는 어렵다는 것이 김 대표의 인식”이라고 말했다.
당 일각에선 김 대표가 청와대에 제 목소리를 못 낸다는 불만도 나오고 있다. 박 대통령이 여당 원내 사령탑을 직접 비판하는 등 국회와 당에 지나치게 개입하는 것에 대해 당 대표로서 당당하게 맞서야 한다는 것이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