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주파수' 결국 누더기…지상파 UHD에 배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래부, 5개 채널에 할당
재난망과 전파 간섭 우려
차세대 통신은 할당폭 줄어
17조 경제효과 날릴 수도
재난망과 전파 간섭 우려
차세대 통신은 할당폭 줄어
17조 경제효과 날릴 수도
정부와 국회가 황금주파수인 700메가헤르츠(㎒) 대역을 지상파 방송 5개 채널의 초고화질(UHD) 방송용으로 할당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관련 주파수를 통신용으로 할당하는 글로벌 추세에 역행할 뿐만 아니라 주파수 경매, 관련 장비 투자 등을 통해 17조원 이상의 경제 효과를 낼 기회를 날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주파수 소위원회와 미래창조과학부, 방송통신위원회는 6일 회의를 열고 700㎒ 대역을 KBS, MBC, SBS, EBS 등 지상파 4개사 5개 채널에 배분하는 안에 잠정 합의했다.
아날로그 TV 방송 종료로 확보된 700㎒ 대역(698~806㎒·108㎒폭)은 주파수가 멀리까지 전달돼 네트워크 구축 비용이 적게 드는 ‘황금 주파수’로 불린다. 정부는 작년 말 이 대역에서 20㎒폭을 국가 재난망 구축에 할당했다. 나머지는 차세대(5G) 이동통신 서비스에 활용할 계획이었지만 여야 정치권과 지상파 방송사의 요구에 밀려 UHD 방송용으로도 할당하기로 했다.
정부는 당초 EBS를 제외한 4개 채널에 24㎒폭을 주는 방안을 마련했지만 이날 EBS까지 포함시켜 30㎒폭으로 할당 대역을 늘렸다. 통신용으로 쓸 수 있는 남은 대역은 40㎒폭뿐이다.
추가 주파수를 확보하기 위해 국제 표준에 맞춰 설정한 주파수 간섭 보호대역을 줄이기로 한 것에 대해서도 우려가 제기된다. 정부는 이동통신과 방송용 사이의 보호 대역을 10㎒폭에서 5㎒폭으로, 방송용과 재난망 사이 보호 대역을 3㎒폭에서 2㎒폭으로 줄이기로 했다. 미래부 관계자는 “중계기 추가 설치 등 기술적 장치를 두면 국제 표준보다 보호 대역을 줄여도 아무런 주파수 간섭이 없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학계와 통신업계에서는 전파 간섭으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내놓는다. 방송은 이동통신에 비해 전파 출력이 40배 이상 강해 주파수 간섭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700㎒ 주파수를 통신용으로 할당해 수조원의 경제효과를 내는 글로벌 추세에 역행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700㎒ 대역을 지상파 UHD 방송용으로 주기로 한 나라는 지금까지 한국이 유일하다.
700㎒ 대역을 통신용으로 활용할 때 정부가 거둬들일 주파수 경매 대가는 10년간 2조3380억원에 달하고 통신사들의 관련 장비 투자(15조원 추산)까지 합쳐 17조원이 넘는 경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게 학계의 주장이다.
독일은 최근 10억44만유로(약 1조2450억원)를 받고 통신업체에 700㎒ 주파수의 일부를 할당했다. 하지만 UHD 방송용으로 할당하면 국가 재정에 아무런 도움이 안 된다. 방송용 주파수는 무료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박덕규 목원대 정보통신융합공학부 교수는 “한국 주도로 2010년 700㎒ 대역 전체를 통신용으로 배분하는 국제 표준(APT700)을 제정했고 115개국이 이미 이 주파수를 통신에 쓰기로 정책을 발표했다”며 “정작 한국이 표준을 지키지 못하면 웃음거리가 될 뿐만 아니라 갈라파고스처럼 고립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상파 방송사들은 이르면 올 하반기 UHD 시범방송을 시작하고 내년께 수도권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하지만 아직 관련 장비 구매 등에는 적극 나서지 않고 있다. 미래부 관계자는 “방송사들이 할당받은 주파수를 사용하지 않을 때 이를 회수할 수 있는 원칙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주파수 소위원회와 미래창조과학부, 방송통신위원회는 6일 회의를 열고 700㎒ 대역을 KBS, MBC, SBS, EBS 등 지상파 4개사 5개 채널에 배분하는 안에 잠정 합의했다.
아날로그 TV 방송 종료로 확보된 700㎒ 대역(698~806㎒·108㎒폭)은 주파수가 멀리까지 전달돼 네트워크 구축 비용이 적게 드는 ‘황금 주파수’로 불린다. 정부는 작년 말 이 대역에서 20㎒폭을 국가 재난망 구축에 할당했다. 나머지는 차세대(5G) 이동통신 서비스에 활용할 계획이었지만 여야 정치권과 지상파 방송사의 요구에 밀려 UHD 방송용으로도 할당하기로 했다.
정부는 당초 EBS를 제외한 4개 채널에 24㎒폭을 주는 방안을 마련했지만 이날 EBS까지 포함시켜 30㎒폭으로 할당 대역을 늘렸다. 통신용으로 쓸 수 있는 남은 대역은 40㎒폭뿐이다.
추가 주파수를 확보하기 위해 국제 표준에 맞춰 설정한 주파수 간섭 보호대역을 줄이기로 한 것에 대해서도 우려가 제기된다. 정부는 이동통신과 방송용 사이의 보호 대역을 10㎒폭에서 5㎒폭으로, 방송용과 재난망 사이 보호 대역을 3㎒폭에서 2㎒폭으로 줄이기로 했다. 미래부 관계자는 “중계기 추가 설치 등 기술적 장치를 두면 국제 표준보다 보호 대역을 줄여도 아무런 주파수 간섭이 없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학계와 통신업계에서는 전파 간섭으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내놓는다. 방송은 이동통신에 비해 전파 출력이 40배 이상 강해 주파수 간섭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700㎒ 주파수를 통신용으로 할당해 수조원의 경제효과를 내는 글로벌 추세에 역행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700㎒ 대역을 지상파 UHD 방송용으로 주기로 한 나라는 지금까지 한국이 유일하다.
700㎒ 대역을 통신용으로 활용할 때 정부가 거둬들일 주파수 경매 대가는 10년간 2조3380억원에 달하고 통신사들의 관련 장비 투자(15조원 추산)까지 합쳐 17조원이 넘는 경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게 학계의 주장이다.
독일은 최근 10억44만유로(약 1조2450억원)를 받고 통신업체에 700㎒ 주파수의 일부를 할당했다. 하지만 UHD 방송용으로 할당하면 국가 재정에 아무런 도움이 안 된다. 방송용 주파수는 무료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박덕규 목원대 정보통신융합공학부 교수는 “한국 주도로 2010년 700㎒ 대역 전체를 통신용으로 배분하는 국제 표준(APT700)을 제정했고 115개국이 이미 이 주파수를 통신에 쓰기로 정책을 발표했다”며 “정작 한국이 표준을 지키지 못하면 웃음거리가 될 뿐만 아니라 갈라파고스처럼 고립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상파 방송사들은 이르면 올 하반기 UHD 시범방송을 시작하고 내년께 수도권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하지만 아직 관련 장비 구매 등에는 적극 나서지 않고 있다. 미래부 관계자는 “방송사들이 할당받은 주파수를 사용하지 않을 때 이를 회수할 수 있는 원칙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