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으로 데이터 주고받는 '광컴퓨터 시대' 온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ETRI, 송수신 단일칩 개발
전송 속도 10배 이상 빨라져
전송 속도 10배 이상 빨라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김경옥 나노인터페이스소자연구실 책임연구원 등이 컴퓨터 내부 칩 간에 빛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실리콘 반도체 기반 광 송수신 단일칩을 개발했다고 8일 발표했다.
현재 컴퓨터에 사용되는 칩 내부 회로와 칩과 칩을 연결하는 회로는 구리선을 이용한다. 전기 신호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때문에 초당 최대 1~2기가비트(Gbps)급 속도를 뛰어넘기 어렵다.
광 송수신 칩은 빛을 이용해 데이터 전송 속도를 10~40Gbps로 끌어올릴 수 있다. 구리선보다 열 발생이 적고 전력 소모량도 줄일 수 있어 차세대 반도체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김경옥 연구원은 “데이터 입출력 속도와 대역폭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며 “반도체업체, 광부품업체 등에 관련 기술을 이전해 상업화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
현재 컴퓨터에 사용되는 칩 내부 회로와 칩과 칩을 연결하는 회로는 구리선을 이용한다. 전기 신호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때문에 초당 최대 1~2기가비트(Gbps)급 속도를 뛰어넘기 어렵다.
광 송수신 칩은 빛을 이용해 데이터 전송 속도를 10~40Gbps로 끌어올릴 수 있다. 구리선보다 열 발생이 적고 전력 소모량도 줄일 수 있어 차세대 반도체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김경옥 연구원은 “데이터 입출력 속도와 대역폭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며 “반도체업체, 광부품업체 등에 관련 기술을 이전해 상업화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