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복 시장 판도 바뀐다] "오늘은 뭐 입을까"…비즈룩 스트레스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40~50대 코디 어려워 골치
취준생 대상 고액 컨설팅도
취준생 대상 고액 컨설팅도
직장인들의 옷차림은 자유로워졌지만 오히려 이로 인한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정장과 달리 비즈니스 캐주얼은 재킷, 셔츠, 바지 등을 따로 갖춰야 하고 코디법도 까다로워 옷을 맞춰 입는 데 애를 먹는다는 하소연이 나오고 있다. 한 중견기업에 다니는 김모 차장은 “새로 부임한 대표가 ‘옷을 세련되게 입으라’고 지시한 이후 의복비 지출이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
기업의 의뢰를 받아 스타일링 강의를 하고 있는 한경애 코오롱FnC 상무는 “젊은층은 옷을 알아서 잘 입지만 40~50대는 확실히 어려워한다”고 했다. 한 상무는 “넥타이만 풀면 비즈니스 캐주얼로 변신했다고 잘못 이해하는 분이 많다”며 “하지만 비즈니스 캐주얼을 입을 땐 하의를 짙은 색으로 입으면 상의는 밝은색으로 입는 식의 컬러 코디는 기본”이라고 조언했다.
기업 입장에서는 이른바 ‘무개념 패션’으로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직원들이 늘고 있는 것이 골칫거리다. 라운드 티셔츠나 청바지를 입고 온 직원들과 신경전을 벌이는 상사도 많다. 일찌감치 복장을 자율화한 신세계백화점은 지난해부터 “너무 달라붙는 바지나 폴로티 등은 자제하라”고 권장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 등 여직원이 많은 기업들은 과도한 노출 패션을 자제하도록 하는 사내 복장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취업준비생을 상대로 옷 입는 법을 조언해 주는 컨설팅 업체들도 생겨났다. 서울 강남의 한 업체 관계자는 “기업이 원하는 이미지를 설명하고 지원자가 개선할 점을 알려준다”며 “회당 비용은 60만~80만원”이라고 소개했다.
이런 스트레스는 한국 남성만의 것은 아니다. 2~3년 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는 금요일에 정장을 입는 ‘포멀 프라이데이’라는 새 풍속도가 등장했다. 자유 복장으로 출근하는 ‘캐주얼 프라이데이’의 반대말이다. 뉴욕타임스는 패션의 유행을 좇는 데 대한 남성들의 피로감이 반영된 일종의 반작용이라고 분석했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
정장과 달리 비즈니스 캐주얼은 재킷, 셔츠, 바지 등을 따로 갖춰야 하고 코디법도 까다로워 옷을 맞춰 입는 데 애를 먹는다는 하소연이 나오고 있다. 한 중견기업에 다니는 김모 차장은 “새로 부임한 대표가 ‘옷을 세련되게 입으라’고 지시한 이후 의복비 지출이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
기업의 의뢰를 받아 스타일링 강의를 하고 있는 한경애 코오롱FnC 상무는 “젊은층은 옷을 알아서 잘 입지만 40~50대는 확실히 어려워한다”고 했다. 한 상무는 “넥타이만 풀면 비즈니스 캐주얼로 변신했다고 잘못 이해하는 분이 많다”며 “하지만 비즈니스 캐주얼을 입을 땐 하의를 짙은 색으로 입으면 상의는 밝은색으로 입는 식의 컬러 코디는 기본”이라고 조언했다.
기업 입장에서는 이른바 ‘무개념 패션’으로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직원들이 늘고 있는 것이 골칫거리다. 라운드 티셔츠나 청바지를 입고 온 직원들과 신경전을 벌이는 상사도 많다. 일찌감치 복장을 자율화한 신세계백화점은 지난해부터 “너무 달라붙는 바지나 폴로티 등은 자제하라”고 권장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 등 여직원이 많은 기업들은 과도한 노출 패션을 자제하도록 하는 사내 복장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취업준비생을 상대로 옷 입는 법을 조언해 주는 컨설팅 업체들도 생겨났다. 서울 강남의 한 업체 관계자는 “기업이 원하는 이미지를 설명하고 지원자가 개선할 점을 알려준다”며 “회당 비용은 60만~80만원”이라고 소개했다.
이런 스트레스는 한국 남성만의 것은 아니다. 2~3년 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는 금요일에 정장을 입는 ‘포멀 프라이데이’라는 새 풍속도가 등장했다. 자유 복장으로 출근하는 ‘캐주얼 프라이데이’의 반대말이다. 뉴욕타임스는 패션의 유행을 좇는 데 대한 남성들의 피로감이 반영된 일종의 반작용이라고 분석했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