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왼쪽)와 김정훈 정책위원회 의장이 14일 의원총회에서 합의 추대된 뒤 동료 의원들의 축하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왼쪽)와 김정훈 정책위원회 의장이 14일 의원총회에서 합의 추대된 뒤 동료 의원들의 축하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주요 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특별위원회를 가동해 필요한 예산도 배정하고 법안도 만들겠다.”

김정훈 신임 새누리당 정책위원회 의장(부산 남갑)은 14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기술력 있는 기업이 해외에 나가 돈을 벌어올 수 있도록 국회가 지원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3선 의원인 김 의장은 이날 원유철 신임 원내대표와 함께 당 의원총회에서 합의추대 방식으로 선출됐다. 그는 “갑자기 선임돼 정책을 준비할 시간이 없었다”면서도 평소 생각을 바탕으로 다양한 아이디어를 내놓았다.

우선 당 차원의 특위를 구성해 주요 산업을 지원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그는 “정책위 의장은 필요한 특위를 구성할 수 있다”며 “정보통신기술(ICT)산업특위부터 설치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 ICT 기업의 투자를 원하는 나라가 많다”며 “로봇, 보안기술,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 강점이 있는 기업을 선발해 특공대를 투입하듯이 각국에 내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의장은 기업의 해외 진출을 뒷받침하기 위한 금융산업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얼마 전 인도네시아에 갔더니 현지에 진출한 한국 건설회사들이 시공 능력은 우수한데 자금 조달을 제대로 못해 적자를 내고 있었다”며 “금융산업이 국제 경쟁력을 갖춰 기업의 해외 진출을 도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현장 중심의 정책을 강화하겠다”며 “정부와 당이 민생 119대응팀을 구성해 주요 현안이 있는 현장에 나가 민원을 해결하는 체제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쟁점 법안 처리를 위한 여야 협의체를 가동하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김 의장은 “여야 정책위 의장과 해당 상임위원회 간사가 참여해 쟁점 법안에 대한 이견을 조율하는 협의체를 운영할 계획”이라며 “야당에 공식 제안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상임위 활동을 하다 보면 여야 간 이견을 충분히 좁힐 수 있는데도 시간이 모자라 절충점을 찾지 못할 때가 많았다”며 “주요 법안에 대해선 시간제한을 두지 말고 논의하자고 할 생각”이라고 했다.

파트너인 강기정 새정치민주연합 정책위 의장에 대해선 “정무위원회에서 함께 활동했다”며 “야당과 갈등이 줄어들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당·청 관계와 관련해선 “예전엔 당 정책위 의장단과 청와대 수석들이 매주 회의를 했다”며 “이런 회의를 활성화해 소통을 원활히 하겠다”고 말했다. 또 “여야 간 필요한 것을 ‘바꿔먹기’하다 보니까 아무 관계 없는 공무원연금법과 세월호 시행령을 교환하듯 하는 사태가 일어났다”며 국회선진화법 개정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정훈 정책위원회 의장=△1957년 부산 출생 △부산고, 한양대 법학과 졸업 △사법시험 합격(31회) △한나라당 부산시당위원장 △한나라당 원내수석부대표 △17~19대 국회의원 △국회 정무위원장

유승호/박종필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