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경 비즈니스 ‘베스트 증권사·애널리스트’ > 한국경제신문 자매지인 한경비즈니스가 선정한 ‘2015 상반기 베스트 증권사·애널리스트’ 시상식이 21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 불스홀에서 열렸다. 신한금융투자가 단체부문에서 베스트 증권사에 올랐다. 리서치센터 평가와 법인영업 평가는 각각 하나대투증권과 신한금융투자가 차지했다. 신한금융투자는 2013 하반기 조사부터 시작해 이번 조사까지 4회 연속 베스트 증권사가 됐다. 개인부문에서는 총 35개 영역에서 선정된 베스트 애널리스트들이 상을 받았다. 공로상은 서명석 유안타증권 사장이 받았다. 장승철 하나대투증권 사장(앞줄 왼쪽 다섯 번째부터), 강대석 신한금융투자 사장, 이희주 한국경제매거진 사장, 황영기 금융투자협회장, 서명석 사장 등이 기념 촬영하고 있다.
< 한경 비즈니스 ‘베스트 증권사·애널리스트’ > 한국경제신문 자매지인 한경비즈니스가 선정한 ‘2015 상반기 베스트 증권사·애널리스트’ 시상식이 21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 불스홀에서 열렸다. 신한금융투자가 단체부문에서 베스트 증권사에 올랐다. 리서치센터 평가와 법인영업 평가는 각각 하나대투증권과 신한금융투자가 차지했다. 신한금융투자는 2013 하반기 조사부터 시작해 이번 조사까지 4회 연속 베스트 증권사가 됐다. 개인부문에서는 총 35개 영역에서 선정된 베스트 애널리스트들이 상을 받았다. 공로상은 서명석 유안타증권 사장이 받았다. 장승철 하나대투증권 사장(앞줄 왼쪽 다섯 번째부터), 강대석 신한금융투자 사장, 이희주 한국경제매거진 사장, 황영기 금융투자협회장, 서명석 사장 등이 기념 촬영하고 있다.
황영기 금융투자협회장은 “지난 1일부터 시행된 ‘시장질서 교란행위 규제’는 잘못된 제도”라고 비판했다. 황 회장은 21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 불스홀에서 열린 한경비즈니스 선정 ‘2015년 상반기 베스트 증권사·애널리스트’ 시상식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새로 도입된 시장질서 교란행위 규제는 미공개 중요 정보를 간접적으로 듣고 투자에 나선 사람이나 2차, 3차 정보 전달자도 시장질서 교란 행위로 간주해 과징금을 부과하도록 하고 있다. 해당 정보를 이용할 목적이 없더라도 처벌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증권사 애널리스트의 기업탐방 활동이 대폭 위축됐다는 게 업계의 주장이다.

황 회장은 “시장질서 교란행위 규제는 시장의 활력과 정보생산의 인센티브를 줄이는 문제가 있다”고 했다.

애널리스트가 기업분석과 탐방을 통해 얻은 정보를 기관투자가 등 고객에게 제공하는 게 시장 원리인데, 이런 정보를 ‘공공재’로 보고 기관과 개인에게 똑같은 시간에 공개하라는 것은 시장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황 회장은 이날 베스트 애널리스트에 선정된 수상자들에게 “국내 작은 우물 안에서 만족하지 말고 글로벌 애널리스트와 당당히 경쟁하라”고 당부했다.

허란 기자 w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