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재해 안전지대 만들자] 산사태 예보에 대피경로까지 알려줘…산림청, 종합경계피난 시스템 구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산사태 고위험 지역 주민의 안전을 위해 산사태 예보·경보는 물론 안전한 대피 시기와 경로까지 알려주는 ‘산사태 종합경계피난 시스템’을 구축했다. 2011년 발생한 서울 서초동 우면산 산사태에서 알 수 있듯이 도시생활권에서는 고위험지역을 찾아내 보다 정확한 예측과 피난에 대한 정보 제공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이에 대한 시스템이 마련돼 있지 않았다.
전 국토의 64%에 해당하는 산지를 대상으로 고위험지역을 찾아내는 것이 쉽지 않고 위험지역의 전조현상을 파악할 수 있는 센서와 정보통신기술, 경보 발령을 위한 센서 임계값 등의 파악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산림청이 구축한 무인원격감시시스템은 산사태 위험정보가 전달된 뒤 안전한 대피소까지의 최단경로를 알려준다. 산림청 관계자는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은 물론 지역주민 스스로가 산사태 골든타임을 인지하고 피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소개했다. 이 시스템은 웹은 물론 모바일에서도 피해가 우려되면 가장 가까운 대피소를 분석해 지도에 그 경로를 표시하는 기능을 탑재해 산림 이용객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산림청은 산사태 예방효과가 큰 사방댐을 2017년까지 3만6000곳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사방댐은 산사태나 홍수를 막기 위해 계곡 등에 설치하는 둑을 말한다. 흘러내리는 물의 속도를 줄이고 침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산림청은 사방댐을 산 위쪽보다 아래쪽에 집중 설치하면 인명과 재산을 지키고 수질개선 효과도 있다고 설명했다.
사방댐은 이미 재해 예방 효과를 톡톡히 내고 있다. 2011년 경기 동두천의 하봉암에 설치된 사방댐은 가옥 150가구와 공장 10동, 농경지 10㏊의 침수를 막았다. 앞서 2004년에도 강원 평창의 봉평에 설치한 사방댐은 가옥 116가구, 밭 20㏊, 마을도로 4㎞ 등을 지켜냈다. 산림청 관계자는 “사방댐은 집중호우시 산지 상류에서 밀려 내려오는 토석과 나무 등을 차단해 하류지역 민가를 보호해준다”며 “사방댐처럼 산사태 예방 위주의 재해관리를 통해 국민의 인명과 재산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
전 국토의 64%에 해당하는 산지를 대상으로 고위험지역을 찾아내는 것이 쉽지 않고 위험지역의 전조현상을 파악할 수 있는 센서와 정보통신기술, 경보 발령을 위한 센서 임계값 등의 파악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산림청이 구축한 무인원격감시시스템은 산사태 위험정보가 전달된 뒤 안전한 대피소까지의 최단경로를 알려준다. 산림청 관계자는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은 물론 지역주민 스스로가 산사태 골든타임을 인지하고 피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소개했다. 이 시스템은 웹은 물론 모바일에서도 피해가 우려되면 가장 가까운 대피소를 분석해 지도에 그 경로를 표시하는 기능을 탑재해 산림 이용객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산림청은 산사태 예방효과가 큰 사방댐을 2017년까지 3만6000곳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사방댐은 산사태나 홍수를 막기 위해 계곡 등에 설치하는 둑을 말한다. 흘러내리는 물의 속도를 줄이고 침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산림청은 사방댐을 산 위쪽보다 아래쪽에 집중 설치하면 인명과 재산을 지키고 수질개선 효과도 있다고 설명했다.
사방댐은 이미 재해 예방 효과를 톡톡히 내고 있다. 2011년 경기 동두천의 하봉암에 설치된 사방댐은 가옥 150가구와 공장 10동, 농경지 10㏊의 침수를 막았다. 앞서 2004년에도 강원 평창의 봉평에 설치한 사방댐은 가옥 116가구, 밭 20㏊, 마을도로 4㎞ 등을 지켜냈다. 산림청 관계자는 “사방댐은 집중호우시 산지 상류에서 밀려 내려오는 토석과 나무 등을 차단해 하류지역 민가를 보호해준다”며 “사방댐처럼 산사태 예방 위주의 재해관리를 통해 국민의 인명과 재산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