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증권사 김진영 연구원은 "내부 모멘텀(상승 동력) 부재로 오는 2분기 실적 시즌의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하다"며 "전략적 측면에서 업종과 종목에 대한 선별과 압축 전략을 이어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삼성전자의 부진한 2분기 실적 발표 이후 수출주를 중심으로 실적 둔화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는 점과 차별화 장세의 심화 가능성을 염두해둬야 한다"며 "기준은 실적 안정성과 성장성이 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실제 2012년 이후 전체 영업이익 기여도 측면에서 수출주가 부진 양상을 지속하고 있는 것과 달리 내수주의 경우 우상향 흐름이 견조하게 이어지고 있다는 게 김 연구원의 분석이다.
그는 "내수주는 단기적인 2분기 실적 모멘텀 측면에서도 수출주 대비 우위에 놓여 있어 관심대상으로 삼을만하다"며 "그중 성장성을 감안한다면 의료, 미디어, 소프트웨어 업종에 대한 우선 접근전략을 이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