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해외취업 규모가 1만 명 수준으로 늘어난다.

정부는 27일 유망 직종의 전문인력을 중심으로 해외에 취업하는 청년을 2017년까지 연간 1만 명으로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선 해외취업 지원시스템을 개선하기로 했다.

정부는 오는 8월부터 고용노동부와 외교부 등 관련부처와 함께 '해외 청년일자리 협의체'를 운영한다.

현지에서 해외취업을 지원하는 창구인 'K-무브(Move) 센터'를 5곳 추가로 설치해 해외 취업 알선 대상을 연간 1500명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청년고용플러스센터를 중심으로 대학생 해외취업 지원을 강화하고, 관련 규제를 개선해 민간에서 알선하는 해외취업자도 연간 3000명으로 늘린다.

해외취업사이트인 '월드잡플러스(www.worldjob.or.kr)'를 확대개편해 구인·구직정보를 통합 제공하고, 모바일 앱을 활용해 접근성도 개선한다.

각 분야 전문인력의 해외진출도 확대한다.

정부는 해외취업이 유망한 선진국과 중동, 중남미, 동남아 신흥국 등 총 15개 국가별로 차별화된 진출 전략을 세우고 자격·비자 등 진출장벽을 완화해 2년 뒤에는 연간 2000명을 해외로 내보낼 방침이다.

이를 위해 해외수주 프로젝트와 연계한 인력 동반진출을 추진하고, 전문직종별 맞춤형 교육을 확대한다.

한편 우수 평가를 받는 현행 사업을 중심으로 대형화를 유도하고, 부진한 사업은 통폐합하는 등 사업체계를 재편한다.

외국 취업에 필요한 언어와 직무역량을 가르치는 K-무브 스쿨에서 고급·전문직종을 중심으로 장기과정을 늘리고, 교육훈련 품질을 높여 이를 통한 취업자 규모를 2000명으로 늘릴 계획이다.

해외 각국에 청년들을 파견해 산림현장을 체험토록 하는 산림협력인턴제는 취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연계성을 강화하고, 인턴·봉사사업에 저소득층의 참여 비율을 대폭 높이기로 했다.

해외인턴제는 6개월∼1년 장기과정을 중심으로 개편한다. 취업 후 1개월·6개월 시점에 각각 150만원씩 주던 해외취업 성공장려금은 앞으로 1개월·6개월·1년 등 3개 시점으로 나뉘어 100만원씩 지급된다.

장기근속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2017년까지 수령자를 연간 1500명으로 늘릴 방침이다.

[과학고 입시 시작…내신영향력 줄고 '자소서' 중요] ['앱'으로 '놀고 맛보고 쉰다'] [젊은 여성이 욕심 낼만한 르노삼성 QM3] ['백주부' 탄생시킨 시청자…동영상 콘텐츠도 '프로슈머 시대'] [우리동네 '행복 배달부'를 아시나요]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