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 노화 원인 찾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권기선 생명연 연구원팀
근육감소증 치료 기대
근육감소증 치료 기대
국내 연구진이 근육줄기세포의 노화를 조절하는 마이크로 RNA(리보핵산)를 발견했다. 노화로 인한 근육감소증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권기선 노화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사진) 팀이 생쥐 근육줄기세포 분석을 통해 노화된 근육줄기세포의 ‘분화능(分化能)’을 회복시키는 마이크로RNA-431의 기능을 확인했다고 29일 발표했다.
노화로 근육줄기세포 수가 줄어들거나 분화 기능이 떨어지는 현상은 노화성 근육감소증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근육줄기세포의 노화를 조절하는 내적 인자와 작용기전은 확인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젊은 생쥐와 늙은 생쥐 근육에서 각각 근육줄기세포를 분리해 마이크로 RNA를 비교했다. 두드러진 차이점은 마이크로RNA-431 활성화였다. 늙은 생쥐 근육줄기세포에서는 마이크로RNA-431이 크게 감소했으며, 인위적으로 이를 발현하자 낮아진 근육 분화 재생이 다시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했다.
권 연구원은 “노화에 따른 근육감소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려면 근육줄기세포의 노화를 억제하는 게 중요하다”며 “마이크로RNA-431은 효율적인 근육감소 치료제 개발뿐 아니라 2차 노인성 질환 치료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성과는 국제학술지 ‘진앤드디벨로프먼트(Genes & Development)’에 실렸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권기선 노화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사진) 팀이 생쥐 근육줄기세포 분석을 통해 노화된 근육줄기세포의 ‘분화능(分化能)’을 회복시키는 마이크로RNA-431의 기능을 확인했다고 29일 발표했다.
노화로 근육줄기세포 수가 줄어들거나 분화 기능이 떨어지는 현상은 노화성 근육감소증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근육줄기세포의 노화를 조절하는 내적 인자와 작용기전은 확인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젊은 생쥐와 늙은 생쥐 근육에서 각각 근육줄기세포를 분리해 마이크로 RNA를 비교했다. 두드러진 차이점은 마이크로RNA-431 활성화였다. 늙은 생쥐 근육줄기세포에서는 마이크로RNA-431이 크게 감소했으며, 인위적으로 이를 발현하자 낮아진 근육 분화 재생이 다시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했다.
권 연구원은 “노화에 따른 근육감소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려면 근육줄기세포의 노화를 억제하는 게 중요하다”며 “마이크로RNA-431은 효율적인 근육감소 치료제 개발뿐 아니라 2차 노인성 질환 치료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성과는 국제학술지 ‘진앤드디벨로프먼트(Genes & Development)’에 실렸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