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폴 외교장관회담…"동북아 평화 위해 노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과 폴란드 외교장관은 29일(현지시간) 회담을 갖고 동북아 지역에 화해와 평화를 가져오기 위해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29일(현지시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그제고슈 스헤티나 폴란드 외무장관과 회담을 한 뒤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윤 장관은 "폴란드와 독일의 화해가 유럽의 평화와 번영의 기폭제가 된 것처럼 한반도와 동북아에서도 하루빨리 평화와 화해가 정착되길 기대한다"면서 폴란드 정부의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윤 장관은 이에 더해 최근 일본 근대산업시설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과정에서 폴란드가 세계유산위원회(WHC) 위원국으로서 우리 측과 적극 협력해준 데 대해 사의를 표명했고, "폴란드의 성공적 체제전환 경험이 한국의 통일 노력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도 말했다.
스헤티나 장관은 독일과의 화해 경험을 한국과 공유하는데 의미를 부여하면서 "앞으로도 한반도 및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답했다.
두 장관은 우크라이나 사태, 이란 핵협상 등 중동문제, 아프가니스탄 문제 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으며, 특히 미국과 이란의 핵합의가 대화와 협상으로 문제를 해결한 중요한 선례로서 북핵 문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길 기대했다.
양국 협력 증진 방안도 중요한 안건으로 다뤄졌다.
윤 장관은 양국간 교역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면서 △폴란드 경제특구에 진출한 한국 기업에 대한 지원 △국산 자주포(K-9) 수출계약에 이은 방산분야 협력 확대 △보건·의료분야 협력증진 △교통·물류분야 진출 확대 등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스헤티나 장관은 "폴란드는 한국을 아시아의 핵심 파트너로 생각하고 있다"면서 한국의 대(對)폴란드 투자 확대, 과학기술·혁신 등 새로운 분야로의 협력 증진을 기대했다.
윤 장관은 이에 더해 한국과 비세그라드 그룹(헝가리, 체코, 폴란드, 슬로바키아로 구성된 중유럽 지역협력체)간 협력 강화방안을 적극 모색해 나가자고 제안했고, 스헤티나 장관은 이에 공감하며 비세그라드펀드(IVF)를 통해 서발칸 및 동방파 트너십 국가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나가길 희망했다.
한국과 폴란드가 외교장관 회담을 연 것은 7년 만이다.
외교부는 "2013년 양국 정상회담에서 체결된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심화·확대하는 한편 주요 국제사회 현안에 대한 전략적 공조를 재확인한 중요한 계기"라고 자평했다.
윤 장관은 30일 안드레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 당선인을 예방한 뒤, 폴란드-독일의 화해 경험을 공유하는 학술세미나를 스헤티나 장관과 공동으로 개최하고 개회사를 할 예정이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29일(현지시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그제고슈 스헤티나 폴란드 외무장관과 회담을 한 뒤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윤 장관은 "폴란드와 독일의 화해가 유럽의 평화와 번영의 기폭제가 된 것처럼 한반도와 동북아에서도 하루빨리 평화와 화해가 정착되길 기대한다"면서 폴란드 정부의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윤 장관은 이에 더해 최근 일본 근대산업시설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과정에서 폴란드가 세계유산위원회(WHC) 위원국으로서 우리 측과 적극 협력해준 데 대해 사의를 표명했고, "폴란드의 성공적 체제전환 경험이 한국의 통일 노력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도 말했다.
스헤티나 장관은 독일과의 화해 경험을 한국과 공유하는데 의미를 부여하면서 "앞으로도 한반도 및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답했다.
두 장관은 우크라이나 사태, 이란 핵협상 등 중동문제, 아프가니스탄 문제 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으며, 특히 미국과 이란의 핵합의가 대화와 협상으로 문제를 해결한 중요한 선례로서 북핵 문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길 기대했다.
양국 협력 증진 방안도 중요한 안건으로 다뤄졌다.
윤 장관은 양국간 교역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면서 △폴란드 경제특구에 진출한 한국 기업에 대한 지원 △국산 자주포(K-9) 수출계약에 이은 방산분야 협력 확대 △보건·의료분야 협력증진 △교통·물류분야 진출 확대 등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스헤티나 장관은 "폴란드는 한국을 아시아의 핵심 파트너로 생각하고 있다"면서 한국의 대(對)폴란드 투자 확대, 과학기술·혁신 등 새로운 분야로의 협력 증진을 기대했다.
윤 장관은 이에 더해 한국과 비세그라드 그룹(헝가리, 체코, 폴란드, 슬로바키아로 구성된 중유럽 지역협력체)간 협력 강화방안을 적극 모색해 나가자고 제안했고, 스헤티나 장관은 이에 공감하며 비세그라드펀드(IVF)를 통해 서발칸 및 동방파 트너십 국가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나가길 희망했다.
한국과 폴란드가 외교장관 회담을 연 것은 7년 만이다.
외교부는 "2013년 양국 정상회담에서 체결된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심화·확대하는 한편 주요 국제사회 현안에 대한 전략적 공조를 재확인한 중요한 계기"라고 자평했다.
윤 장관은 30일 안드레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 당선인을 예방한 뒤, 폴란드-독일의 화해 경험을 공유하는 학술세미나를 스헤티나 장관과 공동으로 개최하고 개회사를 할 예정이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