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찬 포럼에 몰리는 중기 CEO] "회사일만 빠져있다 보니 시야 점점 좁아지더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커버 스토리 - CEO들이 말하는 참석 이유는
"외로운 CEO들, 고민 나눌 자리"
"타사와 교류하며 업계 정보 파악"
"외로운 CEO들, 고민 나눌 자리"
"타사와 교류하며 업계 정보 파악"
![[조찬 포럼에 몰리는 중기 CEO] "회사일만 빠져있다 보니 시야 점점 좁아지더라"](https://img.hankyung.com/photo/201507/01.10321846.1.jpg)
그는 가장 도움이 된 수업으로 한국표준협회의 ‘명품창출 CEO포럼’에서 들은 디자인 강의를 꼽았다. 지난해 10월 진행된 이 수업엔 국내 유명 디자이너들이 강연자로 나섰다. 그는 “경영에만 몰두하다 보니 디자인에 대한 이해도가 낮았다”며 “디자인으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됐다”고 말했다.
‘힐링’을 위해 포럼에 참석하는 최고경영자(CEO)도 있다. 여성기업인인 장성숙 우신피그먼트 대표가 그런 사례다. 안료(색을 내는 색소) 가게에서 경리로 일한 그는 1977년 직접 안료 사업에 뛰어들었다. 38년 뒤 우신피그먼트는 매출 500억원 규모의 국내 1위 안료 기업으로 성장했다. 이런 성과에 보람도 느끼지만 때로는 외로움도 느낀다는 게 장 대표의 말이다. 그는 “CEO도 때때로 상처를 받는다”며 “직원, 소비자와 원활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늘 노력하지만 가끔은 서운하고 고독할 때가 있다”고 했다.
그에게 중소기업중앙회의 ‘SB-CEO스쿨’ 강의는 위로가 되고 있다. 장 대표는 “새벽부터 열정적으로 강의하는 전문가들을 통해 긍정적인 기운을 받는다”며 “다른 회사 CEO들과 고민을 나누고 공감하는 것 역시 큰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임동욱 일신화학공업 대표도 한 달 평균 3~4회 이상 꾸준히 조찬모임이나 포럼 등에 참석한다. 다른 업종 CEO들과 교류하기 위해서다. 임 대표는 “동일 업종이 아니면 다른 기업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다”며 “각양각색의 전문가와 기업인을 만나 얘기를 나누다 보면 정보를 얻을 뿐만 아니라 신사업 등에 대한 구상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