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는 지난 6월 서울시 대치동에 있는 국내영업본부 사옥에서 포스코ICT와 함께 친환경차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는 업무협약을 맺었다. 현대자동차 제공
현대자동차는 지난 6월 서울시 대치동에 있는 국내영업본부 사옥에서 포스코ICT와 함께 친환경차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는 업무협약을 맺었다. 현대자동차 제공
정부가 전기자동차를 보급하는 방식을 바꾼다. 주로 일반 소비자와 관공서에 판매하던 형태에서 벗어나 내년부터 렌터카나 30분 단위로 차를 빌리는 카셰어링 형태로 탈 수 있는 전기차를 확 늘리기로 했다. 올해 2000대 수준으로 예상되는 전기차 판매량을 내년부터 1만대 이상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조치다.

○환경부, 렌터카업체에 보조금 지급

환경부는 오는 5일 국내 주요 렌터카업체와 함께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한 간담회’를 연다. 이 자리에서 내년부터 렌터카업체에 보조금을 주고 전기차를 제공하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그동안 지방자치단체별로 실시한 추첨에서 당첨된 개인에게 환경부 보조금(1500만원)과 지방자치단체 보조금(100만~900만원)을 지급했지만 내년부터는 보조금 수혜 대상을 렌터카업체로 확대한다는 게 환경부의 구상이다.

렌터카업체에도 보조금…빌려 타는 전기차 확 늘린다
지금까지 렌터카업체들은 대부분 보조금 없이 소량의 전기차를 구입해왔다. 국내 1위 업체인 롯데렌터카와 4위 업체인 SK렌터카가 제주에서 각각 2대와 20대의 전기차를 단기렌터카 형태로만 운영하고 있다. 지난 6월 말 기준 국내에 등록된 전기차 3867대 중 렌터카나 카셰어링업체가 보유한 차는 50대 안팎에 그치는 것으로 추산된다.

환경부는 내년부터 렌터카업체 등에 배분하는 전기차 보조금 비중을 전체 보조금의 25% 이상으로 올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환경부의 내년 전기차 보급 목표인 1만대 중 2500~3000대를 렌터카업체에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간담회를 통해 렌터카업체들의 의견을 수용한 뒤 이달 중 렌터카업체에 제공할 보조금 비중을 확정할 계획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전기차 확대에 적극적인 업체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업체도 있어 업계 의견을 들어본 뒤 구체적인 방안을 내놓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기차 판매량 급증할 듯

환경부가 전기차 보조금 지급 대상을 렌터카업체로 확대하려는 것은 전기차 확산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다. 그동안 지자체별 공모를 통해 개인에게 전기차를 보급하다 보니 소비자가 전기차를 인수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렸다. 환경부는 올해 3000대의 전기차를 보급할 계획이지만 6월 말 기준 전기차 판매량은 1000여대에 그쳤다.

렌터카 형태의 전기차가 늘면 전기차를 이용하는 소비자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환경부는 기대하고 있다. 초기 구입 부담을 줄일 수 있어서다. 전기차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 보급 속도가 느린 것으로 분석됐다. 환경부와 지자체 보조금을 모두 받아도 국산 전기차 가격은 대부분 2000만원 이상이다. 렌터카업체들은 각 지자체가 특정 시기를 정해 렌터카 전용 전기차 입찰을 벌여 낙찰업체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선호하고 있다.

렌터카업체들은 소비자 편의성 측면에서도 렌터카가 차량을 소유하는 것보다 더 낫다고 보고 있다. 전기차 관리에 신경을 덜 써도 되기 때문이다. 일정 계약 기간이 끝나면 차량을 인수할지 말지도 정할 수 있어 중고차 처리 고민도 덜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렌터카시장이 매년 20%씩 커지고 있어 전기차를 렌터카 형태로 이용하면 전기차 확산 속도가 급속히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