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해킹한 '원전반대그룹', 이번엔 청와대·국방부 문서 공개
국내 원자력발전소 도면을 공개하며 해킹 논란을 일으킨 ‘원전반대그룹’이 청와대와 국방부 등도 해킹했다고 주장했다.

자신을 ‘원전반대그룹 회장 미핵’이라고 밝힌 트위터 이용자(@nnppkrb)는 4일 자신의 트위터에 ‘한수원은 박 대통령 탄핵, 국정원을 궁지로 몰아넣는 한심원’이란 제목으로 한수원을 비난하는 글과 함께 10개 파일을 내려받을 수 있게 링크를 걸어놨다.

원전반대그룹은 전날에도 청와대와 국방부 등 정부기관 문서(사진)로 추정되는 60개의 자료를 올렸다. 이틀째 공개다.

원전반대그룹이 이날 공개한 파일 중 한 개는 원전 도면이고, 나머지는 청와대 국방부 국정원의 문서로 추정된다. 한수원 관계자는 “작년 12월을 시작으로 열 차례 원전 도면을 공개했지만 모두 기밀자료가 아니다”며 “그 수준에서 멈춘 도면들”이라고 말했다.

아홉 개 파일엔 2013년 7월 서울의 한 호텔에서 당시 허태열 청와대 비서실장과 주철기 외교안보수석, 연제욱 국방비서관 등이 성우그룹 회장과 재향군인회장을 만나 나눈 대화록이 포함돼 있다. 청와대는 국무회의 공개 자료 외엔 모든 자료를 비공개로 분류한다.

나머지 파일은 국방부 국방정보본부가 작년 1월 작성한 것으로 돼 있는 ‘2013년 국제정세 평가 및 2014년 전망’과 주(駐)타이베이 한국대표부 무관부에 국방부 장관 명의로 보낸 공문 등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국방부에서 나간 문서인지는 확인이 안 된다”며 “국방부에서 나간 문서라도 기밀문서라고 보기 힘들다”고 말했다.

원전반대그룹은 작년 12월부터 트위터를 통해 자료를 공개하며 한수원을 압박했다. 이들이 올린 글에선 돈을 요구하고 있지만, 한수원 관계자는 “트위터에 적은 것 외에 따로 연락을 취해온 적은 없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원전반대그룹은 돈이 목적이라기보다 ‘국가에 타격을 주기 위한 세력’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세종=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