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우리·기업은행…현장 중시 '실사구시형 행장'들 호실적 이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네트워크형' 행장보다 존재감 작다는 우려 씻고
유효고객 늘리고 고객 맞춤 상품개발 주도
유효고객 늘리고 고객 맞춤 상품개발 주도
영업현장과 실무에 강한 ‘실사구시형’ 은행장이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이후 사령탑에 오른 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 겸 국민은행장, 이광구 우리은행장, 권선주 기업은행장이 대표적이다.
처음엔 내부 출신으로 마당발에 카리스마까지 갖춘 이순우 전 우리금융 회장과 조준희 전 기업은행장, 외부 출신이지만 금융관료 및 정권 핵심의 지원을 받은 임영록 전 KB금융 회장과 이건호 전 국민은행장에 비해 존재감이 떨어지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정부·정치권과의 네트워킹 능력에 대한 우려가 나오면서 외풍에 시달릴 수 있다는 관측도 있었다.
하지만 윤 회장 겸 행장과 이 행장, 권 행장은 이 같은 우려를 빠르게 지우며 새로운 실사구시형 리더십을 선보이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은행권에선 “이들 행장은 실무 챙기기에 집중하는 스타일이다 보니 외부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올해 들어 이들 은행의 실적이 눈에 띄게 좋아지면서 주목받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보여주기식 수치를 없애라
권 행장은 지난해 초 취임하자마자 ‘유효고객’ 확보를 강조했다. 그동안 기업은행은 신규 고객 수를 중시했다. 2011~2013년 매년 신규 개인고객 100만명 유치라는 목표를 달성하기도 했다.
하지만 권 행장은 신규 고객 확대보다는 월평균 잔액 기준 수신 30만원, 대출 100만원 이상을 6개월 이상 유지하는 ‘유효고객’을 더욱 늘려야 한다는 지침을 내렸다. 이런 전략은 성과를 냈다. 2013년 말 503만명이던 유효고객은 지난 6월 말 558만명으로 증가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권 행장이 취임한 뒤 보여주기식 숫자가 아니라 경영에 도움이 되는 영업을 강조하면서 은행 분위기가 확 바뀌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6월 기업은행이 나라사랑카드 사업자로 선정된 것도 달라진 분위기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일등 시스템부터 갖춰라
이 행장은 지난해 말 차기 행장으로 결정된 뒤 가장 먼저 은행 내 상품개발팀을 해체했다. 상품개발팀에 있던 40여명의 직원은 모두 개인, 대기업, 중소기업 자산관리(WM)본부로 발령했다.
그가 이처럼 결정한 이유는 딱 하나였다. 모든 전략적 결정은 결국 고객을 위한 상품 개발로 이어져야 한다고 봤기 때문이다. 이 행장은 이렇게 시스템을 갖춰놓고 수요자에게 다가가야 한다는 것을 ‘계기비행’이라는 말로 곧잘 표현한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상품개발 인력의 현장 배치는 계기비행처럼 수요자가 원할 때 그에 맞는 상품을 내놓을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현장에서 문제를 해결한다는 마음가짐으로 고객을 대하라는 게 이 행장의 주문”이라고 전했다.
우리은행은 단순히 대외홍보용으로 각 기관과 양해각서(MOU)를 맺는 데 그치지 않고 해당 기관의 임직원을 고객으로 끌어오는 데 성공했다. 올해 들어서만 한국세라믹기술원 성균관대 등을 주거래 기관으로 유치했다.
○‘우문현답’ 정신을 길러라
윤 회장은 취임 이후 줄곧 영업현장 직원을 챙기고 있다. 임원회의 때면 “영업점에서 올라오는 민원에 ‘안 된다’고 답하지 말라”고 강조한다. 국민은행이 최근 몇 년 사이 내부 갈등을 겪으며 영업점과 본점 전략부서 사이의 간격이 너무 벌어졌다는 판단에서다. 그는 틈만 나면 ‘경영진만 똑똑하면 은행을 이끌어갈 수 있는 시대도 있었지만 요즘처럼 환경이 급변할 때는 현장의 목소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윤 회장은 또 ‘우리의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다’는 이른바 ‘우문현답’ 정신을 임직원들에게 주문하고 있다. 그가 15~20년차 실무팀장들과 정기적으로 회의를 여는 것도 현장 목소리를 더 접하기 위해서다.
실사구시를 중시하는 이들 최고경영자(CEO)의 경영전략은 실적 개선으로 이어지고 있다. 국민은행의 올해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730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가량 늘었다. 우리은행과 기업은행의 상반기 순이익도 5169억원, 6769억원으로 각각 23.87%, 9.3% 증가했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
처음엔 내부 출신으로 마당발에 카리스마까지 갖춘 이순우 전 우리금융 회장과 조준희 전 기업은행장, 외부 출신이지만 금융관료 및 정권 핵심의 지원을 받은 임영록 전 KB금융 회장과 이건호 전 국민은행장에 비해 존재감이 떨어지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정부·정치권과의 네트워킹 능력에 대한 우려가 나오면서 외풍에 시달릴 수 있다는 관측도 있었다.
하지만 윤 회장 겸 행장과 이 행장, 권 행장은 이 같은 우려를 빠르게 지우며 새로운 실사구시형 리더십을 선보이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은행권에선 “이들 행장은 실무 챙기기에 집중하는 스타일이다 보니 외부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올해 들어 이들 은행의 실적이 눈에 띄게 좋아지면서 주목받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보여주기식 수치를 없애라
권 행장은 지난해 초 취임하자마자 ‘유효고객’ 확보를 강조했다. 그동안 기업은행은 신규 고객 수를 중시했다. 2011~2013년 매년 신규 개인고객 100만명 유치라는 목표를 달성하기도 했다.
하지만 권 행장은 신규 고객 확대보다는 월평균 잔액 기준 수신 30만원, 대출 100만원 이상을 6개월 이상 유지하는 ‘유효고객’을 더욱 늘려야 한다는 지침을 내렸다. 이런 전략은 성과를 냈다. 2013년 말 503만명이던 유효고객은 지난 6월 말 558만명으로 증가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권 행장이 취임한 뒤 보여주기식 숫자가 아니라 경영에 도움이 되는 영업을 강조하면서 은행 분위기가 확 바뀌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6월 기업은행이 나라사랑카드 사업자로 선정된 것도 달라진 분위기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일등 시스템부터 갖춰라
이 행장은 지난해 말 차기 행장으로 결정된 뒤 가장 먼저 은행 내 상품개발팀을 해체했다. 상품개발팀에 있던 40여명의 직원은 모두 개인, 대기업, 중소기업 자산관리(WM)본부로 발령했다.
그가 이처럼 결정한 이유는 딱 하나였다. 모든 전략적 결정은 결국 고객을 위한 상품 개발로 이어져야 한다고 봤기 때문이다. 이 행장은 이렇게 시스템을 갖춰놓고 수요자에게 다가가야 한다는 것을 ‘계기비행’이라는 말로 곧잘 표현한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상품개발 인력의 현장 배치는 계기비행처럼 수요자가 원할 때 그에 맞는 상품을 내놓을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현장에서 문제를 해결한다는 마음가짐으로 고객을 대하라는 게 이 행장의 주문”이라고 전했다.
우리은행은 단순히 대외홍보용으로 각 기관과 양해각서(MOU)를 맺는 데 그치지 않고 해당 기관의 임직원을 고객으로 끌어오는 데 성공했다. 올해 들어서만 한국세라믹기술원 성균관대 등을 주거래 기관으로 유치했다.
○‘우문현답’ 정신을 길러라
윤 회장은 취임 이후 줄곧 영업현장 직원을 챙기고 있다. 임원회의 때면 “영업점에서 올라오는 민원에 ‘안 된다’고 답하지 말라”고 강조한다. 국민은행이 최근 몇 년 사이 내부 갈등을 겪으며 영업점과 본점 전략부서 사이의 간격이 너무 벌어졌다는 판단에서다. 그는 틈만 나면 ‘경영진만 똑똑하면 은행을 이끌어갈 수 있는 시대도 있었지만 요즘처럼 환경이 급변할 때는 현장의 목소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윤 회장은 또 ‘우리의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다’는 이른바 ‘우문현답’ 정신을 임직원들에게 주문하고 있다. 그가 15~20년차 실무팀장들과 정기적으로 회의를 여는 것도 현장 목소리를 더 접하기 위해서다.
실사구시를 중시하는 이들 최고경영자(CEO)의 경영전략은 실적 개선으로 이어지고 있다. 국민은행의 올해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730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가량 늘었다. 우리은행과 기업은행의 상반기 순이익도 5169억원, 6769억원으로 각각 23.87%, 9.3% 증가했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