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포털 인크루트는 5일 이같은 내용의 설문 결과를 밝혔다. ‘사양하고 싶은 회사 복리후생’ 주제의 이 설문엔 인크루트 회원 456명이 참여했다. 직장인들은 의사와 상관없이 개인 시간을 뺏기는 ‘동원형 복지’보다 경제적 지원을 해주는 복리후생 제도를 선호했다. 직장인들은 술자리 회식(27%)과 국내 워크숍(21%)을 비롯해 사내 체육대회를 비롯한 각종 행사(16%), 의무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업무 관련 교육·훈련(15%), 영화·뮤지컬 단체관람 또는 회사 권장 도서 읽기 등 단체 문화체험(7%) 등도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녁이나 주말의 개인 시간을 뺏기기 싫다”는 이유(32%)가 가장 많았다. 몸이 피곤해지거나(23%) 시간을 빼앗겨 업무에 지장을 준다(19%)는 답변도 있었다.
하루의 대부분을 회사에서 보내는 직장인들 입장에선 업무 외에 회사 사람들과 여행을 가든 문화생활을 하든 개인 시간이 줄어드는 데 대해 불만스러워 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응답자의 44%는 정작 “상사의 눈치가 보여서 회사 복지 행사에 참여한다”고 답했다. 15%는 참여하기 싫은 회사 복지 때문에 이직까지 고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응답자의 58%는 행사에 영혼 없이 억지로 참여하는 ‘달관형’으로 분류됐다.
반면 선호하는 회사 복지로는 기혼은 자녀 학자금 지원(21%), 미혼의 경우 중식 제공(16%)을 들었다. 이어 의료비·경조사비·교통비 지원 등을 꼽았다. 직장인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는 복리후생 제도란 게 공통점이다.
[공교육 '선행학습 허용'이 문제인 진짜 이유] ['한국 원조' 폴더형 스마트폰, 안방 넘어 해외 공략] [뭉칫돈 몰리는 스타트업…손 큰 투자자 '러브콜'] ['전직 시장' 이준원 한일고 교장의 특별한 변신] [벤츠 "올해 4만대 이상 판매 목표…하반기 SUV 주력"]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