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1508/AA.10346324.1.jpg)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는 최근 학부와 대학원 졸업자 중 플랜트업계에 취업하는 비율이 30~40%에 이른다. 반면 플랜트를 전공한 교수는 전체 교수 32명 중 2명(6%)뿐이다. 공학교육과 산업계의 인력 수요 간 ‘미스매칭(수급 불균형)’ 현상이 점점 심해지고 있는 것이다.
본지는 6일 조선 및 건설업계 플랜트부문 실적쇼크의 배경엔 공대에서 플랜트 전공 교수가 점점 사라지는 현상이 자리 잡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일선 공대 교수들은 다소 억울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서울의 한 사립대 공대학장은 “논문 실적을 위주로 교수를 뽑는 건 치열한 대학 간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며 “대학들이 이 같은 결과를 조장하는 것처럼 비쳐져선 곤란하다”고 말했다.
논문을 잣대로 한 각종 국가연구사업과 평가 등이 대학을 옭매고 있는 상황에서 이 같은 억울함은 충분히 수긍이 간다. 이제는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한 때다. 지난해 정부가 ‘공과대학혁신특별위원회’를 범정부 기구로 구성하고 각종 개혁안을 내놓고 있지만 현장에선 피부로 느끼지 못하는 듯하다. 한 대학 관계자는 “혁신을 떠들며 시끄럽기만 하지 무슨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는지 도무지 모르겠다”고 했다.
고사위기에 놓인 플랜트 교육의 현실은 공대의 위기를 보여주는 빙산의 일각일 뿐이다. 플랜트뿐 아니라 기계, 철강 등 우리 주력산업과 연관된 다른 분야들도 비슷한 문제를 앓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계에서는 “이러다간 한국 공대의 역할이 우수한 대학원생을 미국 대학에 제공하는 데 그치게 될지도 모른다(이건우 서울대 공대학장)”는 우려까지 나온다.
지난 6월 한국의 인간형 로봇 ‘휴보’가 미국 재난 로봇 경진대회에서 1위를 차지했다. 논문 편수 채우기에 급급하다면 제2, 제3의 휴보가 탄생할 수 있을까.
오형주 지식사회부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