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年2200억 부담 감소
병원 손실 보전위해 정부가 의료수준 평가
등급 높을수록 지원금 증액…중환자 진료비·식대 현실화
< 570억 : 전국 1596개 병상 보험 추가적용 따른 환자 부담 절감분 >
![](https://img.hankyung.com/photo/201508/AA.10351275.1.jpg)
◆줄어드는 특진비 부담
![](https://img.hankyung.com/photo/201508/01.10352064.1.jpg)
지금까지는 100명의 자격의사가 있는 병원은 최대 80명(80%)까지 선택의사를 지정할 수 있었다. 하지만 다음달부터는 100명 중 67명(67%)까지만 선택진료를 할 수 있다. 과별로도 최대 15명까지만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전국 305개 병원의 선택진료 의사 1만387명 중 2314명이 일반의사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환자 부담 절감분이 연간 2212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앞으로 환자들은 비용 부담이 적은 일반진료를 받을지, 일정 비용을 부담하고 선택진료를 받을지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내년엔 선택의사 지정비율 기준이 67%에서 33%로 더 낮아진다.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일반병상(4인실 이상 다인실) 비율도 50%에서 70%로 높아진다. 현재 상위 5개 대형병원의 일반병상 비율은 62.3%밖에 안 된다. 이들 병원의 1~3인실에 입원한 환자 중 84%가 원하지 않는데도 일반병상이 없어 어쩔 수 없이 비싼 비용을 내고 있다. 다음달부터 일반병상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그동안 건강보험 적용이 되지 않았던 전국 1596개 병상에도 보험이 적용될 예정이다. 상급병실 축소에 따른 환자 부담 절감분은 연 570억원가량이다.
다만 정부는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로 불거진 다인실 확대에 따른 감염 우려에 대해서도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일반병상으로 전환되는 1~3인실에 대해 4인실로 바꾸기보다는 단독 입원이 필요한 환자를 위한 ‘격리실’로 운영할 수 있도록 격리 수가를 올려주기로 했다. 6인실 위주의 일반병상 환경을 4인실 위주로 개편하자는 취지로 6인실 병상 최소확보 의무도 폐지된다.
◆등급 따라 입원비 달라져
선택진료제가 축소되는 대신 ‘의료질평가지원제도’가 신설된다.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을 평가해 그 결과에 따라 입원비와 외래 진찰료 진료비를 더 얹어주는 방식이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그동안 선택진료비란 이름으로 환자들에게 우수한 의료서비스를 선택하는 비용을 모두 전가했다면 앞으로는 그 비용을 건강보험에서 지원하겠다는 것”이라며 “환자 입장에서는 단순히 좋은 의사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종합평가 결과 우수한 의료기관으로 검증된 병원을 선택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추가 지원금은 입원 환자의 경우 1일 입원료 최대 2730원, 외래 환자는 진찰료 최대 1320원 수준이다. 40~80%는 건강보험에서 지원하고 20~60%는 환자가 부담한다. 이에 따라 높은 평가를 받은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입원 환자는 입원비를 하루당 최대 490원 정도 더 내야 한다. 내년엔 이 추가 비용이 하루 최대 2400원 정도로 불어난다.
환자 안전과 관련된 진료비 체계도 마련된다. 수술·마취 후 전문의나 전담 간호사가 환자 회복을 관리하는 데 주는 진료비(회복관리료)가 신설되고, 중환자실·무균실 등 중환자 치료를 위해 꼭 필요하지만 수가가 낮아 병원의 확충 유인이 없었던 특수병상 진료비도 인상된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