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국민공천제 흥정대상 아냐"…문재인 "권역별 비례제 도입 결단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천·선거구제 놓고 공방
여야는 내년 20대 총선에 적용할 공천과 선거제도 문제를 둘러싸고 공방을 이어갔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7일 확대간부회의에서 “이 기회에 망국적 지역주의 정치구조를 개혁하지 못하면 우리 모두 역사의 죄인이 될 것”이라며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과 관련해) 통 크게 결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문 대표는 이어 “통 크게 합의하고 세부적인 건 정치개혁특별위원회에서 논의한다면 내년 총선부터 정치혁신의 결과를 국민에게 보여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새누리당이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은 지역주의 정치구조의 기득권을 놓지 않으려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며 “김 대표도 망국적인 지역갈등 해소 없이는 결코 정치 발전이 있을 수 없다고 말한 바 있는데 그 말을 실천해 달라”고 거듭 촉구했다.
김 대표는 이날 주요당직자회의에서 문 대표의 제안과 관련, “국민공천제는 국민 정치이기 때문에 그 어떤 것과도 타협이나 협상의 대상이 될 수 없고 흥정의 대상으로 삼을 수 없다”며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김 대표는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여러 가지 방안 중 하나로 놓고, 국회 정개특위에서 우리 정치 상황에 맞게 조정하는 논의를 해야 한다”며 정개특위에 ‘공’을 돌렸다. 김 대표는 “정치개혁의 요체는 공천개혁”이라며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의 여야 동시 도입을 거듭 요청했다.
국회 입법조사처는 이날 “오픈프라이머리가 자칫하면 정치적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정치적 무관심을 부추길 수 있다”며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다.
이정진 입법조사처 연구원은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둘러싼 공천개혁 논의는 바람직한 정당정치 모델에 대한 근본적이고 깊이 있는 논의와 병행돼야 할 것”이라며 “후보자 간 정책 차별성을 강화하고, 투표소 투표 외에 모바일 투표 방식 도입 등 유권자의 참여를 확대하려는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성태 기자 mrhand@hankyung.com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7일 확대간부회의에서 “이 기회에 망국적 지역주의 정치구조를 개혁하지 못하면 우리 모두 역사의 죄인이 될 것”이라며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과 관련해) 통 크게 결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문 대표는 이어 “통 크게 합의하고 세부적인 건 정치개혁특별위원회에서 논의한다면 내년 총선부터 정치혁신의 결과를 국민에게 보여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새누리당이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은 지역주의 정치구조의 기득권을 놓지 않으려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며 “김 대표도 망국적인 지역갈등 해소 없이는 결코 정치 발전이 있을 수 없다고 말한 바 있는데 그 말을 실천해 달라”고 거듭 촉구했다.
김 대표는 이날 주요당직자회의에서 문 대표의 제안과 관련, “국민공천제는 국민 정치이기 때문에 그 어떤 것과도 타협이나 협상의 대상이 될 수 없고 흥정의 대상으로 삼을 수 없다”며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김 대표는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여러 가지 방안 중 하나로 놓고, 국회 정개특위에서 우리 정치 상황에 맞게 조정하는 논의를 해야 한다”며 정개특위에 ‘공’을 돌렸다. 김 대표는 “정치개혁의 요체는 공천개혁”이라며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의 여야 동시 도입을 거듭 요청했다.
국회 입법조사처는 이날 “오픈프라이머리가 자칫하면 정치적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정치적 무관심을 부추길 수 있다”며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다.
이정진 입법조사처 연구원은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둘러싼 공천개혁 논의는 바람직한 정당정치 모델에 대한 근본적이고 깊이 있는 논의와 병행돼야 할 것”이라며 “후보자 간 정책 차별성을 강화하고, 투표소 투표 외에 모바일 투표 방식 도입 등 유권자의 참여를 확대하려는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성태 기자 mrhan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