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모 키워야 단가 낮춘다"…LG, OLED TV 시장 확대 승부수 던졌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LG디스플레이, 대형 OLED에 2조 추가투자
화질 우수하고 두께 얇지만 가격 비싸 LCD에 아직 밀려
대량 생산으로 원가 절감…시장 판도 바꾸기 과감한 베팅
정부도 장비 수입관세 철폐
화질 우수하고 두께 얇지만 가격 비싸 LCD에 아직 밀려
대량 생산으로 원가 절감…시장 판도 바꾸기 과감한 베팅
정부도 장비 수입관세 철폐
LG디스플레이는 매달 3만4000장의 대형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을 만들고 있다. 하지만 이마저도 TV 업체에서 다 소화하지 못한다. 아직은 OLED시장이 그만큼 작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LG디스플레이가 2조원 이상을 추가 투자해 대형 OLED 패널 생산량을 늘리기로 한 것은 “OLED TV의 시대가 반드시 올 것”이라는 확신 때문이다. OLED가 현재 TV시장의 대세인 LCD(액정표시장치)보다 성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가격만 낮출 수 있다면 시장은 빠르게 커질 것이란 전망이다. LG는 규모의 경제와 양산 기술 확보를 통해 생산 단가를 끌어내릴 계획이다.
◆LG, OLED TV 시장 확대 ‘승부수’
LCD는 유리기판 뒤에서 백라이트가 빛을 쏴서 화면을 만드는 구조다. 반면 OLED는 화소를 화면에 직접 바르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화소가 자체적으로 빛을 내 화면을 만든다. LCD보다 화질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두께도 얇다. LG전자 외에 중국 TCL 등 TV 업체들이 잇따라 OLED TV 제작에 나선 이유다.
문제는 가격이다. 유리기판에 화소를 바르는 것을 ‘증착 공정’이라고 하는데, 워낙 어려운 기술이다. 따라서 LCD 생산보다 수율(전체 생산량 중 출고 가능한 비율)이 훨씬 떨어진다. 당연히 가격도 비싸다.
LG가 OLED TV 제조를 시작한 지 3년차에 접어들고 있지만 좀처럼 시장이 커지지 않는 이유다. 현재 세계 OLED TV 시장 규모는 약 50만대로 전체 TV 시장 2억대의 0.25%에 불과하다.
게다가 경쟁사들은 OLED 대신 LCD 투자를 늘리고 있다. 중국 BOE는 초대형(10세대) LCD 투자를 최근 결정했고, 삼성디스플레이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LCD 생산량이 늘어나면 시장 가격은 더 떨어진다. LG로서는 악재다.
그러나 LG는 정면돌파를 선택했다. 생산량을 늘려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고 대량 생산 노하우도 더 쌓겠다는 의지다. 이를 통해 가격을 끌어내려 시장을 키우겠다는 복안이다. OLED는 백라이트가 필요 없기 때문에 LCD보다 재료비가 싸다. 생산수율만 높인다면 LCD보다 싸게 만들 수 있다는 설명이다.
LG 관계자는 “가격만 맞다면 OLED 패널을 사겠다는 TV업체는 줄지어 있다”며 “LCD 시대는 이미 저물어가고 있다고 판단해 OLED에 집중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도 관세 낮춰주며 ‘전폭 지원’
정부의 과감한 결단도 LG디스플레이에 힘을 실어줬다는 평가가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7월7일 수출종합대책을 발표하며 OLED 장비 수입 관세를 현재 5~8%에서 0%로 낮췄다. 올 하반기부터 수입하는 OLED 장비에 대해선 관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
대형 OLED 증설 투자비의 80~90% 정도는 장비값이다. 또 주요 장비는 아직도 일본 TEL 등 외국 회사들만 개발하는 경우가 많다. 업계 관계자는 “장비 수입 관세를 없애주면 OLED 투자는 상당히 탄력을 받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산업부는 지난해 53억달러인 OLED 패널 수출액이 2018년 153억달러까지 늘것으로 보고 있다. 지금은 스마트폰 등에 쓰이는 중소형 OLED 패널이 대부분이나 앞으로는 대형 패널의 비중이 점점 늘어날 것이라는 게 업계의 전망이다. 시장조사업체 디스플레이 서치는 세계 대형 OLED 시장 규모가 올해 11억달러에서 2020년 76억달러로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남윤선/김재후/정지은 기자 inklings@hankyung.com
◆LG, OLED TV 시장 확대 ‘승부수’
LCD는 유리기판 뒤에서 백라이트가 빛을 쏴서 화면을 만드는 구조다. 반면 OLED는 화소를 화면에 직접 바르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화소가 자체적으로 빛을 내 화면을 만든다. LCD보다 화질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두께도 얇다. LG전자 외에 중국 TCL 등 TV 업체들이 잇따라 OLED TV 제작에 나선 이유다.
문제는 가격이다. 유리기판에 화소를 바르는 것을 ‘증착 공정’이라고 하는데, 워낙 어려운 기술이다. 따라서 LCD 생산보다 수율(전체 생산량 중 출고 가능한 비율)이 훨씬 떨어진다. 당연히 가격도 비싸다.
LG가 OLED TV 제조를 시작한 지 3년차에 접어들고 있지만 좀처럼 시장이 커지지 않는 이유다. 현재 세계 OLED TV 시장 규모는 약 50만대로 전체 TV 시장 2억대의 0.25%에 불과하다.
게다가 경쟁사들은 OLED 대신 LCD 투자를 늘리고 있다. 중국 BOE는 초대형(10세대) LCD 투자를 최근 결정했고, 삼성디스플레이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LCD 생산량이 늘어나면 시장 가격은 더 떨어진다. LG로서는 악재다.
그러나 LG는 정면돌파를 선택했다. 생산량을 늘려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고 대량 생산 노하우도 더 쌓겠다는 의지다. 이를 통해 가격을 끌어내려 시장을 키우겠다는 복안이다. OLED는 백라이트가 필요 없기 때문에 LCD보다 재료비가 싸다. 생산수율만 높인다면 LCD보다 싸게 만들 수 있다는 설명이다.
LG 관계자는 “가격만 맞다면 OLED 패널을 사겠다는 TV업체는 줄지어 있다”며 “LCD 시대는 이미 저물어가고 있다고 판단해 OLED에 집중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도 관세 낮춰주며 ‘전폭 지원’
정부의 과감한 결단도 LG디스플레이에 힘을 실어줬다는 평가가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7월7일 수출종합대책을 발표하며 OLED 장비 수입 관세를 현재 5~8%에서 0%로 낮췄다. 올 하반기부터 수입하는 OLED 장비에 대해선 관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
대형 OLED 증설 투자비의 80~90% 정도는 장비값이다. 또 주요 장비는 아직도 일본 TEL 등 외국 회사들만 개발하는 경우가 많다. 업계 관계자는 “장비 수입 관세를 없애주면 OLED 투자는 상당히 탄력을 받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산업부는 지난해 53억달러인 OLED 패널 수출액이 2018년 153억달러까지 늘것으로 보고 있다. 지금은 스마트폰 등에 쓰이는 중소형 OLED 패널이 대부분이나 앞으로는 대형 패널의 비중이 점점 늘어날 것이라는 게 업계의 전망이다. 시장조사업체 디스플레이 서치는 세계 대형 OLED 시장 규모가 올해 11억달러에서 2020년 76억달러로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남윤선/김재후/정지은 기자 inkling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