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평화선언…日평화헌법 수호·한반도 평화협정·북핵 비핵화 촉구
이홍구 전 총리·무라야마 전 日총리…중국·미국·유럽쪽 인사도 참여

이홍구 전 국무총리와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전 일본 총리를 비롯해 일본, 미국, 중국, 유럽 등의 국내외 각계 주요인사 97명이 전쟁과 무력행사를 금지한 일본의 평화헌법 9조의 수호와 한반도 정전상태 종식, 북핵 비핵화 등을 촉구하는 '2015 동아시아 평화선언'을 발표했다.

평화선언은 동아시아평화국제회의 조직위원회와 서울시, 경기도가 13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한 '2015 동아시아평화국제회의'에서 이홍구 전 총리와 하토야마 유키오(鳩山由紀夫) 전 일본 총리가 공동 발표했다.

이날 평화선언 발표는 14일 예정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전후 70주년 담화와 직접적 관련은 없지만, 아베 담화를 하루 앞두고 일본의 과거사 반성과 평화헌법 준수 등을 언급하며 동아시아 평화를 강조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이들은 "동아시아는 강대국들의 영향력이 조밀하게 교차하며 군비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는 가장 위험한 지역으로 떠오르고 있다"면서 "유럽이 전후 70년 동안 세계 평화와 생태를 지키기 위한 전 지구적 운동의 중심에 서 있었던 것처럼 이제는 동아시아도 그 몫을 해야 할 차례"라고 평화선언 취지를 설명했다.

이들은 "20세기 초 이래 동아시아 침략전쟁 주역이 됐던 패전국 일본이 과거에 대한 명확한 반성 없이 군사대국으로 나서고 있어 동아시아의 오래된 갈등구조에 새로운 긴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면서 "2차 대전 이후 동아시아 평화를 설계하는 근간이었던 일본 평화헌법을 개정해 군사대국이 되는 것은 결코 환영받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일본의 평화헌법 9조는 동아시아 평화를 떠받치는 주춧돌이며, 불행한 과거사가 반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라며 "일본의 양심을 대변하는 이들과 함께 우리는 평화헌법 9조가 반드시 지켜져야 함을 천명한다"고 밝혔다.

한반도 분단상황에 대해서도 "'끝나지 않은 한국전쟁'은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평화를 위해 이제 끝내야 한다"면서 "미국, 중국, 남북한 등 4개국 주요 교전 당사국은 휴전상태인 한국전쟁을 끝내고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바꾸는 협상을 즉각 개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북핵에 대해 "북한의 핵무기 개발과 고도화는 더는 방치돼서는 안 된다"면서 대화의 문턱을 낮춤으로써 조속한 6자회담 재개를 촉구했다.

특히 북한의 핵개발 동기 약화 등을 위해 "비대칭적으로 우위에 선 미국과 한국, 일본이 먼저 긴장완화의 이니셔티브를 취하는 것이 불가결하고, 평화체제로의 전환과 북미·북일 관계정상화, 한반도 비핵화, 북한에 대한 소극적 안전보장(NSA)을 포괄적이고 대담하게 협상함으로써 엉킬 실타래를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촉진하기 위해 남북간 긴밀한 대와 협력을 주문하고 미국에 대해서도 "북미관계 정상화와 평화협정 체결을 보장함으로써 북한의 비핵화를 쉽게 하고 상호군축을 진행하는 길을 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공동선언에는 이홍구 고건 전 국무총리, 이만섭 김원기 김형오 박관용 임채정 전 국회의장, 이용훈 전 대법관, 한승헌 전 감사원장, 새누리당 이주영 의원과 새정치연합 이종걸 원내대표 등 현역 정치인, 동아시아평화국제회의 조직위 이부영 위원장, 고은 신경림 시인, 이문열 황석영 소설가, 백낙청 강만길 교수 등이 참여했다.

해외에서도 무라야마 및 하토야마 전 일본 총리,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 리 자오싱 전 중국 외교부장, 월터 먼데일 전 미국 부통령, 너지 데바 유럽의회 한반도 관계대표단 회장, 노벨 평화상 수상자인 메어리드 맥과이어 등이 같이했다.

(서울연합뉴스) 이귀원 김효정 기자 lkw777@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