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비올 때 우산 뺏지 말라"는 금감원장의 말은 옳은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감독원이 부실 기업에 대한 은행들의 대출축소 움직임에 제동을 걸고 있다고 한다. 앞서 대우조선해양 거래 은행에 여신 회수를 자제해달라고 한 데 이어, 엊그제는 진웅섭 원장이 직접 나섰다. 진 원장은 기자간담회에서 조선업계의 구조조정 상황을 염두에 두면서 ‘비 올 때 우산을 뺏지 말라’는 취지로 대출을 줄이지 말라고 했다.
물론 금감원의 고민을 모르지 않는다. 한계 산업과 부실 기업에 대한 구조조정도 중요하지만, 위태로운 경기를 어떻게든 살려보려는 정책에 차질을 빚어서는 안 된다는 압박감이 클 것이다. 올해 3% 성장도 확신 못할 상황에서 청년실업은 심각한데 노동개혁은 논의만 넘칠 뿐 지지부진하다. 게다가 중국발 환율전쟁이 벌어질 지경이다. 이런 판에 은행들이 단기 실적에 급급해 ‘대출 쥐어짜기’에만 열중한다면 멀쩡한 기업도 버티기 어렵다는 지적이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대출을 줄이든 확대하든 그 판단은 전적으로 채권자인 은행 몫이다. 더구나 대출이 회수되는 곳이 진 원장의 말대로 일시적인 유동성 애로를 겪는 정상기업인지, 한계기업인지는 멀리서 보는 심판으로선 쉽게 판가름할 수 있는 일도 아니다. 언제까지 감독당국이 은행 경영에 ‘감 놔라 배 놔라’ 관여하고 감독할 것인가. 설령 은행의 위기대응 방식이 보신주의처럼 비친다 해도 감독당국이 대출에 간섭하는 것이야말로 전형적인 관치(官治)다. 경기 흐름, 산업의 부침, 개별 기업의 생존력 등 모두를 은행 스스로 판단·관리할 수 있어야 은행의 책임경영도, 금융산업의 성장도 가능해진다. 비 올 때 우산을 뺏지 말라면 은행의 부실관리도 면책해주겠다는 말인가. 우산을 잘못 관리하면 수십조원의 공적 자금을 투입하는 사태가 되풀이될 수 있다.
대우조선해양의 2조원 부실이 뒤늦게 불거진 것도 산업은행을 내세운 관치 부산물인 측면이 있다. 간섭과 규제, 지도와 압박 등 초법적 관치가 산업의 자율 구조조정을 막고, 감독당국의 온갖 간섭이 은행의 보신주의를 조장하고 있다. 금융산업을 키우려면 관치부터 근절해야 한다.
물론 금감원의 고민을 모르지 않는다. 한계 산업과 부실 기업에 대한 구조조정도 중요하지만, 위태로운 경기를 어떻게든 살려보려는 정책에 차질을 빚어서는 안 된다는 압박감이 클 것이다. 올해 3% 성장도 확신 못할 상황에서 청년실업은 심각한데 노동개혁은 논의만 넘칠 뿐 지지부진하다. 게다가 중국발 환율전쟁이 벌어질 지경이다. 이런 판에 은행들이 단기 실적에 급급해 ‘대출 쥐어짜기’에만 열중한다면 멀쩡한 기업도 버티기 어렵다는 지적이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대출을 줄이든 확대하든 그 판단은 전적으로 채권자인 은행 몫이다. 더구나 대출이 회수되는 곳이 진 원장의 말대로 일시적인 유동성 애로를 겪는 정상기업인지, 한계기업인지는 멀리서 보는 심판으로선 쉽게 판가름할 수 있는 일도 아니다. 언제까지 감독당국이 은행 경영에 ‘감 놔라 배 놔라’ 관여하고 감독할 것인가. 설령 은행의 위기대응 방식이 보신주의처럼 비친다 해도 감독당국이 대출에 간섭하는 것이야말로 전형적인 관치(官治)다. 경기 흐름, 산업의 부침, 개별 기업의 생존력 등 모두를 은행 스스로 판단·관리할 수 있어야 은행의 책임경영도, 금융산업의 성장도 가능해진다. 비 올 때 우산을 뺏지 말라면 은행의 부실관리도 면책해주겠다는 말인가. 우산을 잘못 관리하면 수십조원의 공적 자금을 투입하는 사태가 되풀이될 수 있다.
대우조선해양의 2조원 부실이 뒤늦게 불거진 것도 산업은행을 내세운 관치 부산물인 측면이 있다. 간섭과 규제, 지도와 압박 등 초법적 관치가 산업의 자율 구조조정을 막고, 감독당국의 온갖 간섭이 은행의 보신주의를 조장하고 있다. 금융산업을 키우려면 관치부터 근절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