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공인 1호 한경 TESAT] 외환보유액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www.tesat.or.kr
[문제] 다음 중 외환보유액이 늘어나는 경우는?
(1) 수출이 100만달러 증가하고, 수입도 100만달러 증가
(2) 수출이 100만달러 늘고, 외국인의 국내 주식시장 투자 100만달러 증가
(3) 수입이 100만달러 늘고, 외국인의 국내 주식시장 투자 100만달러 증가
(4) 수입이 100만달러 늘고, 내국인의 외국 주식시장 투자 100만달러 증가
(5) 내국인의 외국 주식시장 투자가 100만달러 늘고, 외국인의 국내 시장에 대한 투자가 100만달러 증가
[해설] 외환보유액은 한 나라가 비상사태에 대비해 비축한 외화자금이다. 경상수지와 자본·금융계정이 모두 흑자인 경우 국내로 외화자금이 유입돼 외환보유액은 증가한다. 수출이 수입보다 많으면 경상수지는 흑자가 되고, 수입이 수출보다 많으면 경상수지는 적자가 된다. 외국인의 국내 주식시장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면 자본·금융계정이 흑자가 되고, 반대로 내국인의 외국 주식시장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면 적자가 된다.
[정답] (2)
(1) 수출이 100만달러 증가하고, 수입도 100만달러 증가
(2) 수출이 100만달러 늘고, 외국인의 국내 주식시장 투자 100만달러 증가
(3) 수입이 100만달러 늘고, 외국인의 국내 주식시장 투자 100만달러 증가
(4) 수입이 100만달러 늘고, 내국인의 외국 주식시장 투자 100만달러 증가
(5) 내국인의 외국 주식시장 투자가 100만달러 늘고, 외국인의 국내 시장에 대한 투자가 100만달러 증가
[해설] 외환보유액은 한 나라가 비상사태에 대비해 비축한 외화자금이다. 경상수지와 자본·금융계정이 모두 흑자인 경우 국내로 외화자금이 유입돼 외환보유액은 증가한다. 수출이 수입보다 많으면 경상수지는 흑자가 되고, 수입이 수출보다 많으면 경상수지는 적자가 된다. 외국인의 국내 주식시장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면 자본·금융계정이 흑자가 되고, 반대로 내국인의 외국 주식시장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면 적자가 된다.
[정답]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