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19일 당론으로 정한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의 시행을 놓고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계 간 공방을 벌였다.

이날 당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친박계인 이정현 최고위원은 “완전 개방형 국민경선을 하면 누구나 예측할 수 있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고 말했다. 이 최고위원은 “총선 투표율도 적은데 오픈프라이머리 경선을 했을 경우 (예비경선의) 참여율이 매우 낮고, 상대 당이 똘똘 뭉쳐 역선택을 해 예비선거 투표소에 들어서면 2~3% 경선 차이 지지율은 판세가 뒤집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오픈프라이머리를 시행하는 정당에만 국고보조금이 100억원 이상 지원되면 형평성 문제를 상대 정당이 제기할 수 있다”며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한) 문제 제기가 계파 싸움으로 간주되거나 계파에서만 제기할 수 있는 문제인가”라고 비판했다. 이는 김무성 대표가 주장하는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한 것이다.

김 대표는 이 최고위원의 이 같은 주장에 대해 “그건 이정현 의원의 생각”이라며 “(더 이상) 대답하지 않겠다”고 일축했다. 비박계의 정병국 의원도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해 “만장일치로 당론으로 채택한 것”이라며 원칙론을 고수했다. 정 의원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국민을 속이면 안 된다”면서 “우리 모두가 동의한 제도를 현실에 적용하기 어렵다고 해서 반대해서는 안 된다”고 말해 이 최고위원과 다른 입장을 내놨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오픈프라이머리의 실현 가능성을 의심하는 목소리가 큰 것은 사실”이라며 “김 대표 역시 오픈프라이머리를 통한 공천권 내려놓기가 당 대표 임기 중 최고 핵심과제인 만큼 쉽게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종필 기자 j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