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9월 금리인상 가능성 줄어…물가 상승 확신 필요"-키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키움증권은 20일 지난달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 공개 결과 9월 금리인상 가능성이 다소 줄어들었다고 분석했다.
이 증권사 마주옥 투자전략팀장은 "7월 FOMC 의사록은 다음달 금리인상 가능성을 높이지 못했다"며 "대부분의 위원들이 금리 인상 전에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다는 데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대다수 위원들이 물가가 중기적으로 목표치에 접근할 것이라는 확신과 고용시장 여건이 견고해졌다는 증거가 더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봤다.
매파적인 일부 위원들은 금리 인상 조건이 이미 충족됐거나 곧 충족될 것으로 확신했다는 설명이다. 그들은 통화정책 정상화 시점의 지연은 바람직하지 못한 물가 상승이나 재정 안정성 약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마 팀장은 "고용시장과 주택시장 개선을 감안할 때 9월 금리 인상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지만, 물가상승이 뚜렷하지 않은 점이 가능성을 약화시키고 있다"고 판단했다.
그는 "7월 소비자물가의 상승 폭이 둔화됐고 국제유가 하락과 달러화 강세, 위안화 평가절하 등을 감안할 때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이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박희진 한경닷컴 기자 hotimpact@hankyung.com
이 증권사 마주옥 투자전략팀장은 "7월 FOMC 의사록은 다음달 금리인상 가능성을 높이지 못했다"며 "대부분의 위원들이 금리 인상 전에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다는 데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대다수 위원들이 물가가 중기적으로 목표치에 접근할 것이라는 확신과 고용시장 여건이 견고해졌다는 증거가 더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봤다.
매파적인 일부 위원들은 금리 인상 조건이 이미 충족됐거나 곧 충족될 것으로 확신했다는 설명이다. 그들은 통화정책 정상화 시점의 지연은 바람직하지 못한 물가 상승이나 재정 안정성 약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마 팀장은 "고용시장과 주택시장 개선을 감안할 때 9월 금리 인상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지만, 물가상승이 뚜렷하지 않은 점이 가능성을 약화시키고 있다"고 판단했다.
그는 "7월 소비자물가의 상승 폭이 둔화됐고 국제유가 하락과 달러화 강세, 위안화 평가절하 등을 감안할 때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이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박희진 한경닷컴 기자 hotimpac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