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대통령, NSC 직접 주재 > 박근혜 대통령은 20일 북한의 서부전선 포격 도발과 관련해 ‘지하 벙커’로 불리는 청와대 위기관리상황실에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회의를 직접 주재했다. 청와대 제공
< 박대통령, NSC 직접 주재 > 박근혜 대통령은 20일 북한의 서부전선 포격 도발과 관련해 ‘지하 벙커’로 불리는 청와대 위기관리상황실에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회의를 직접 주재했다. 청와대 제공
북한군이 20일 오후 3시53분께 경기 연천군 중면 지역으로 고사포(구경 14.5㎜ 추정) 한 발을 발사한 데 이어 오후 4시12분에는 비무장지대(DMZ) 내 군사분계선(MDL) 남쪽 700m 지점에 수발의 직사포(76.2㎜ 추정)를 발사했다.

고사포탄은 우리 군 대포병 레이더에 탐지됐고 야산에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군은 이날 오후 5시4분께 MDL 이북 500m 지점에 155㎜ 자주포 20여발로 대응 사격했다. 국방부는 오후 5시40분 전군에 최고 수준의 경계태세를 발령했다. 연천 등 접경지역 주민들에겐 긴급 대피령이 내려졌다. 군은 이번 도발이 북한의 DMZ 지뢰 도발에 대응하는 우리 군의 대북 심리전 방송에 대한 위협 차원에서 이뤄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고사포탄이 떨어진 곳은 대북 확성기와는 수킬로미터 떨어진 지점으로 북한군이 조준사격을 한 것은 아닌 것으로 군당국은 분석했다.

북한군 총참모부는 오후 5시께 서해 군통신선을 통해 국방부 앞으로 보낸 전통문에서 “대북 심리전 방송은 중대 도전”이라며 “20일 17시부터 48시간 내 방송을 중지하지 않으면 군사적 행동을 개시하겠다”고 위협했다.

최승욱 선임기자/김대훈 기자 swcho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