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구름 짙어지는 글로벌 경제] 미국 증시 연 수익률 마이너스…9월 금리인상 '안갯속'으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흥국발 침체 선진국 전이
유럽 증시도 일제히 급락선진국 금융시장도 타격
유럽 증시도 일제히 급락선진국 금융시장도 타격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 경제지표가 급속히 악화되면서 미국과 유럽 금융시장도 타격을 입고 있다. 신흥국발 디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 하락) 압력이 선진국으로 전이되면서 미국과 영국의 기준금리 인상 계획도 발목이 잡히는 형국이다.
2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는 모두 2% 넘게 폭락했다. 다우지수는 2011년 11월 이후 하루 낙폭으로는 최대인 2.06% 떨어지면서 1만7000선 밑으로 추락했다. 연초 이후 수익률도 -4.7%로 악화됐다. S&P500지수는 2.11% 하락했고, 나스닥지수 역시 2.82%가 빠지면서 5000선 아래로 주저앉았다. 이날 미국 증시의 급락은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애플의 영향이 컸다. 애플의 핵심시장인 중국에서 2분기 스마트폰 판매가 처음으로 감소세를 보였다는 시장조사기관 가트너의 보고서에 애플 주가가 2.05% 급락했다.
미국 경기지표는 혼조세를 보였다. 미국의 콘퍼런스보드가 발표한 7월 경기선행지수는 0.2% 하락하며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시장조사업체 마킷이 21일 발표한 8월 미국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예비치는 52.9로 1년10개월 만에 최저로 떨어졌다. 반면 7월 기존주택 판매는 전월 대비 2% 증가한 559만채(연율 환산기준)로 2007년 2월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노동부가 발표한 지난주 신규실업수당 신청자 수는 27만7000명으로 예상치를 소폭 넘었지만 고용시장이 안정됐는지를 판단하는 30만명 선을 넘진 않았다. 유럽 증시도 독일 증시가 2.34% 하락한 것을 비롯해 주요국 모두 2~3%대 급락했다.
신흥국 경기둔화 여파로 미 중앙은행(Fed)의 다음달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도 옅어지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단기금리 선물가격 변화를 근거로 봤을 때 9월 기준금리가 인상될 확률이 33%로 1주일 전의 48%에서 크게 낮아졌다고 전했다. 이는 월가 트레이더의 약 3분의 2는 Fed가 다음달 금리 인상에 나서지 않을 것으로 본다는 의미다. 이날 미 국채 10년물 금리도 4.6bp(1bp=0.01%포인트) 하락한 연 2.08%를 기록, 지난 4월 말 이후 최저 수준을 보였다.
투자은행(IB)들의 첫 금리 인상 시기에 대한 예측은 9월과 12월이 맞서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와 크레디트스위스, 바클레이즈는 9월 인상을 점치고 있다. 반면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 HSBC, 노무라증권 등은 12월 인상을 전망하고 있다. 씨티그룹은 전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7월 회의록 공개 후 “Fed가 9월부터 통화정책 정상화에 나설 것”이라며 오히려 12월 인상 전망을 앞당겼다.
모하메드 엘 에리언 알리안츠 수석경제 고문은 이날 CNBC에서 “Fed가 금리 인상 시기를 놓쳤다”며 인상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예상했다.
뉴욕=이심기 특파원 sglee@hankyung.com
2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는 모두 2% 넘게 폭락했다. 다우지수는 2011년 11월 이후 하루 낙폭으로는 최대인 2.06% 떨어지면서 1만7000선 밑으로 추락했다. 연초 이후 수익률도 -4.7%로 악화됐다. S&P500지수는 2.11% 하락했고, 나스닥지수 역시 2.82%가 빠지면서 5000선 아래로 주저앉았다. 이날 미국 증시의 급락은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애플의 영향이 컸다. 애플의 핵심시장인 중국에서 2분기 스마트폰 판매가 처음으로 감소세를 보였다는 시장조사기관 가트너의 보고서에 애플 주가가 2.05% 급락했다.
미국 경기지표는 혼조세를 보였다. 미국의 콘퍼런스보드가 발표한 7월 경기선행지수는 0.2% 하락하며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시장조사업체 마킷이 21일 발표한 8월 미국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예비치는 52.9로 1년10개월 만에 최저로 떨어졌다. 반면 7월 기존주택 판매는 전월 대비 2% 증가한 559만채(연율 환산기준)로 2007년 2월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노동부가 발표한 지난주 신규실업수당 신청자 수는 27만7000명으로 예상치를 소폭 넘었지만 고용시장이 안정됐는지를 판단하는 30만명 선을 넘진 않았다. 유럽 증시도 독일 증시가 2.34% 하락한 것을 비롯해 주요국 모두 2~3%대 급락했다.
신흥국 경기둔화 여파로 미 중앙은행(Fed)의 다음달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도 옅어지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단기금리 선물가격 변화를 근거로 봤을 때 9월 기준금리가 인상될 확률이 33%로 1주일 전의 48%에서 크게 낮아졌다고 전했다. 이는 월가 트레이더의 약 3분의 2는 Fed가 다음달 금리 인상에 나서지 않을 것으로 본다는 의미다. 이날 미 국채 10년물 금리도 4.6bp(1bp=0.01%포인트) 하락한 연 2.08%를 기록, 지난 4월 말 이후 최저 수준을 보였다.
투자은행(IB)들의 첫 금리 인상 시기에 대한 예측은 9월과 12월이 맞서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와 크레디트스위스, 바클레이즈는 9월 인상을 점치고 있다. 반면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 HSBC, 노무라증권 등은 12월 인상을 전망하고 있다. 씨티그룹은 전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7월 회의록 공개 후 “Fed가 9월부터 통화정책 정상화에 나설 것”이라며 오히려 12월 인상 전망을 앞당겼다.
모하메드 엘 에리언 알리안츠 수석경제 고문은 이날 CNBC에서 “Fed가 금리 인상 시기를 놓쳤다”며 인상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예상했다.
뉴욕=이심기 특파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