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고위급회담, 장기화 조짐...북한 잠수함 성능 `관심UP`
남북고위급회담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남북고위급회담이 생각보다 오래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결론이 아직 나고 있질 않아 국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남한과 북한 각 대표단은 지난 23일 오후 3시 30분 남북고위급회담을 개최해 24일인 오늘 현재시간 오후 3시가 넘도록 협상을 이어가고 있는 중이다.
앞서 양측은 지난 22일 오후 6시 30분에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남북고위급회담을 가졌다. 당시 남북고위급회담은 하루를 넘긴 23일 새벽 4시15분까지 진행됐다.
두차례에 걸쳐 연속으로 진행된 남북고위급회담에는 남측 김관진 국가안보실장과 홍용표 통일부 장관이, 북측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과 김양건 노동당 비서가 참석했다.
그러나 오랜 시간의 회담에도 양측은 서로의 의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은 지난 4일 DMZ 목함지뢰 사건과 20일 서부전선 포격도발에 대한 시인과 사과를 요구했지만 북한은 자신들의 소행이 아니라 남측의 자작극이라며 맞서고 있다.
뿐만 아니라 남북고위급회담의 장기화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남북한의 협상이 결렬될 경우에 대한 전문가들의 예상이 불안감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
전문가들은 "남북고위급회담 협상이 결렬되면 군사적 충돌로 갈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협상 결렬은 양측 다 부담이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또 "이번 회담이 지니는 의미가 상당히 크다. 양쪽 다 무력을 뒤에 세우고 상대방으로 하여금 굴복하도록 담판을 짓고 있기 때문에 세계사적인 담판이 될 것 같다. 이번 담판이 잘못되면 우리 민족으로써는 큰 재앙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77척의 잠수함을 보유 중인 것으로 알려진 북한이 지난 23일 이후 전체 잠수함의 70% 가량의 잠수함을 가동했다는 소식이 들려오며 우리 군에 비상이 걸렸다.
이는 사실상 가용할 수 있는 모든 잠수함이 기지를 빠져나가 우리 감시망 밖으로 이탈했음을 의미한다.
평소 북한 잠수함이 대여섯 척씩 기동했던 데 비하면 그 10배가 이틀 사이에 움직인 것이다.
동·서해로 나뉘어 출항한 북한 잠수함들은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알 수 없고, 언제 어떻게 도발에 나설지도 파악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미 양군을 따라서 잠수함 탐지 자산을 대거 투입해 사라진 잠수함들의 향방을 파악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북한은 잠수함(수중) 발사 탄도미사일(SLBM)시험을 과시하는 등 성능개량에 열을 올리고 있어 탐지가 쉽지만은 않을 전망이다.
한 군사전문가는 "이번 목함지뢰 도발에서도 보듯 북한의 최근 도발 방식은 증거가 명확하지 않게 저지르는 것이 특징"이라며 "잠수함 도발은 이같은 북한의 도발 트랜드에 가장 적합한 수단"이라고 평가했다.
이상민
한국경제TV 핫뉴스
ㆍ"여성 가슴노출 허용하라" 뉴욕 대규모 시위··뭔 일이래?
ㆍ진짜 사나이 한채아, `D컵 볼륨+꿀벅지`로 男心 저격
ㆍ"홍진영" SNS에 공개!! 하루종일 먹어도 "이것"이면 몸매 걱정 끝?!
ㆍ`진짜 사나이` 한채아vs한그루, `D컵 볼륨` 비키니 몸매 공개 `깜짝`
ㆍ이재명 성남시장, `청순매력` 백아연과 무슨 사이?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