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관광 활성화] 여의도 재건축 탄력받나…서울시, 내달 '한강변 관리 기본계획' 발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강 관광 활성화 대책 연계
특별건축구역 지정 계획
특별건축구역 지정 계획
정부와 서울시가 여의도를 관광 허브로 조성하겠다는 개발 계획을 발표하면서 지지부진한 여의도 일대 아파트의 재건축이 탄력을 받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서울시는 다음달 말께 여의도를 비롯해 압구정·잠실·반포 등 한강변 개발 계획을 담은 ‘한강변 관리 기본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당초 서울시는 이달 말 발표할 계획이었으나, 정부와 서울시의 한강 관광자원화 방안 합의가 늦어지면서 발표 시기가 미뤄졌다. 시 고위 관계자는 “여의도 관광 허브 조성 계획과 연계한 한강변 경관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여의도 아파트 15개 단지 8000여가구는 대부분 1970년대에 지어져 재건축 허용 연한을 충족했다. 하지만 기존 용적률이 200% 초반대로 높기 때문에 재건축이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압구정·잠실·여의도·반포·이촌 등 제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지정된 한강변 아파트의 법정 상한용적률(건물의 전체 바닥 면적 대비 땅 면적 비율)은 300%다. 하지만 서울시는 도시정비기본계획에서 이 지역의 허용용적률을 최대 230%(공공기여 비율 제외)로 제한했다. 주민들 입장에서는 재건축을 하더라도 얻을 수 있는 이익이 별로 없다는 뜻이다.
서울시는 이번 한강 관광 활성화 대책과 연계해 여의도를 비롯한 한강변 일대를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되면 건폐율, 높이, 일조권 등 관련 법령 규제가 대폭 완화된다. 시는 통합선착장과 복합문화센터가 들어서는 지하철 5호선 여의나루역 일대 아파트 높이는 저층으로 허용하는 등 저층과 고층 아파트를 혼합 배치해 한강 경관과 조화를 이루는 수변 스카이라인을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시는 여의도를 제외한 잠실, 압구정 등 한강변 아파트의 공공기여는 한강변 관광 자원화사업에 쓰겠다는 방침이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서울시는 다음달 말께 여의도를 비롯해 압구정·잠실·반포 등 한강변 개발 계획을 담은 ‘한강변 관리 기본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당초 서울시는 이달 말 발표할 계획이었으나, 정부와 서울시의 한강 관광자원화 방안 합의가 늦어지면서 발표 시기가 미뤄졌다. 시 고위 관계자는 “여의도 관광 허브 조성 계획과 연계한 한강변 경관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여의도 아파트 15개 단지 8000여가구는 대부분 1970년대에 지어져 재건축 허용 연한을 충족했다. 하지만 기존 용적률이 200% 초반대로 높기 때문에 재건축이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압구정·잠실·여의도·반포·이촌 등 제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지정된 한강변 아파트의 법정 상한용적률(건물의 전체 바닥 면적 대비 땅 면적 비율)은 300%다. 하지만 서울시는 도시정비기본계획에서 이 지역의 허용용적률을 최대 230%(공공기여 비율 제외)로 제한했다. 주민들 입장에서는 재건축을 하더라도 얻을 수 있는 이익이 별로 없다는 뜻이다.
서울시는 이번 한강 관광 활성화 대책과 연계해 여의도를 비롯한 한강변 일대를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되면 건폐율, 높이, 일조권 등 관련 법령 규제가 대폭 완화된다. 시는 통합선착장과 복합문화센터가 들어서는 지하철 5호선 여의나루역 일대 아파트 높이는 저층으로 허용하는 등 저층과 고층 아파트를 혼합 배치해 한강 경관과 조화를 이루는 수변 스카이라인을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시는 여의도를 제외한 잠실, 압구정 등 한강변 아파트의 공공기여는 한강변 관광 자원화사업에 쓰겠다는 방침이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