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지역 이기 덫'에 걸린 삼성 평택공장
삼성전자의 경기 평택 반도체공장 건설이 지역이기주의에 발목 잡혀 시작부터 난관에 부딪혔다. 안성시 등이 안성에서 평택시 고덕면을 잇는 송전탑 건설을 반대하고 나선 데 이어 일부 평택시민이 “공장 건설에 필요한 중장비와 건설 자재를 모두 평택에서 해결하라”고 주장하고 있어서다.

본지 5월15일자 A1, 3면 참조

24일 업계와 경찰에 따르면 평택건설장비협의회 등으로 구성된 ‘평택시민 지역경제살리기 비상대책위원회’는 25일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본사 앞에서 대규모 시위를 벌일 예정이다. 이들은 평택 공장을 건설할 때 △평택지역 인력과 건설기계를 100% 우선 사용하고 △건설공사 현장을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는 출입증을 발급해 주며 △건설장비의 안전기준을 완화해 달라는 등의 요구를 하고 있다. 이종호 비대위원장은 “삼성전자가 평택 공장을 지으면서 값이 싸다는 이유로 다른 지역 중장비와 자재를 쓰는 것은 문제”라고 주장했다. 비대위는 공사현장 앞에 별도 사무실을 설치하고 공사장으로 들어가는 다른 지역 중장비의 진입을 막는 등 강경 시위를 하고 있다.

삼성은 이에 대해 “공정한 입찰 절차를 거쳐 업체를 선정하고 있다”며 “대당 수천억원에 이르는 고가 장비가 들어가는 공장인 만큼 역량을 꼼꼼히 따지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반도체 업체들은 막대한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크게 성장하는 상황에서 한국 기업들은 국내 이슈에 발목 잡혔다는 비판도 나온다.

삼성전자는 15조6000억원을 들여 평택에 반도체공장을 짓기로 하고 지난 5월 공사에 들어갔다. 2017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공장을 가동하면 15만명의 고용 창출효과가 있을 것으로 삼성전자는 전망했다.

평택=남윤선/마지혜 기자 inkling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