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문학 작가들이 금기 깨고 색다른 연애소설 썼다는데…
한국 문단에서 연애소설은 순문학과 다른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연애소설을 쓰는 작가는 순문학을, 순문학을 하는 작가는 연애소설을 쓰지 못하거나 써서는 안 된다는 금기가 있었던 게 사실이다. 이런 고정관념을 깨려는 시도가 나왔다. 순문학 작품을 쓰는 작가 다섯 명의 로맨스 소설을 모은 ‘로망 컬렉션’이다. 참여한 작가들은 혼불문학상 세계문학상 등 여러 문학상을 받은 사람들. 나이도 30대 초반부터 50대까지 다양하다.

순문학 작가들이 금기 깨고 색다른 연애소설 썼다는데…
하창수의 ‘봄을 잃다’는 이혼한 40대 남성 사진가 몽인과 20대 초반 여성 모델 봄의 이야기다. 같이 산책을 나갔다 봄이 사라지자 몽인은 종일 봄을 찾아 헤맨다. 한차현의 ‘우리의 밤은 당신의 낮보다 요란하다’는 우연한 사랑에 빠진 30대 남성과 그의 마음을 빼앗은 ‘N’의 이야기를 그렸다.

1930년대를 배경으로 한 ‘연애 독본’(박정윤)은 소설가가 되고 싶은 여고생의 이야기를 당시 시대상에 맞춰 흥미롭게 풀어낸다. 라디오 프로그램을 둘러싼 인물들과 의문의 남자가 등장하는 ‘네이처 보이’(김서진), 춘화(春畵)를 소재로 삼은 ‘미인도’(전아리) 등도 모두 흥미로운 주제로 독자들을 찾는다.

하씨는 “여러 가지 소재를 통해 사랑이 무엇인가 짚어내는 것이 연애소설의 확장을 불러왔다”며 “이것이 한국 문학의 스펙트럼을 넓히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김씨는 “시골에서 올라온 천진난만한 아가씨와 신분이 높은 남자가 아슬아슬한 사랑으로 해피엔딩을 맞는 게 연애소설의 정석이었다”며 “이제 진정한 연애소설의 본질은 결말에 상관없이 심장이 쿵 하고 내려앉는 듯한 느낌이 들게 하는 것이 아닐까 한다”고 말했다.

이번 기획을 주도한 신승철 나무옆의자 주간은 “한국 소설의 외연을 확장하는 것이 이번 기획의 가장 큰 목표”라며 “이들 소설을 계기로 독자와의 소통을 통해 앞으로 더 많은 작품을 낼 것”이라고 말했다.

박상익 기자 dir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