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행정체계 지자체로 일원화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3일 '도서관발전 대토론회'
이인호 KBS 이사장 기조강연
이인호 KBS 이사장 기조강연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이 나눠 운영하고 있는 공공도서관 행정체계를 조속히 일원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해 12월 기준 지자체 소속 공공도서관은 679곳, 교육청 소속은 232곳이었다. 같은 지역에 운영 주체가 다른 공공도서관이 함께 있어 도서관 간 협력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2일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리는 ‘도서관발전 대토론회’에서 기조강연을 맡은 이인호 KBS 이사장(서울대 명예교수)은 31일 미리 배포한 강연문을 통해 “공공도서관이 지역 문화시설의 핵심으로 자리잡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은 이원화돼 있는 공공도서관 운영체계”라고 지적했다. 그는 “선진국 어디서도 볼 수 없는 기형적인 행정체계를 지난 60년간 방치해왔으면서 공공도서관을 확충해 지역문화 발전과 평생학습에 기여하는 기반시설로 정립시키겠다는 발상은 선후가 잘못된 것”이라고 비판했다.
도서관 정책 전반을 심의·조정하는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는 2010년부터 교육청 소속 공무원을 지자체 소속으로 이관하는 방향으로 행정체계 일원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최은주 도서관정보정책위원장은 이날 서울 인사동에서 열린 대토론회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공공도서관 숫자를 보더라도 교육청 도서관은 더 이상 늘지 않고 정체돼 있다”며 “지역 공공도서관은 지자체가 관심을 갖고 관리하는 것이 맞다”고 설명했다. 최 위원장은 “직급이나 인력 재배치 문제 등 교육청에서 우려하는 내용을 충분히 알고 있다”며 “유예기간을 둬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국가발전과 도서관의 역할’을 주제로 하는 이번 토론회는 2일 프레스센터, 3일 서울 반포동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열린다. 첫날엔 한상완 초대 도서관정보정책위원장이 정책, 법제, 운영관리 등 다양한 측면에서 도서관이 수행해야 할 역할을 제시한다. 영국예술위원회 도서관부문 책임자인 브라이언 애슐리 디렉터는 주제발표에서 도서관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 둘째날에는 공공·전문·작은도서관 등 도서관 종류별로 분과 토론이 이어진다.
박상익 기자 dirn@hankyung.com
2일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리는 ‘도서관발전 대토론회’에서 기조강연을 맡은 이인호 KBS 이사장(서울대 명예교수)은 31일 미리 배포한 강연문을 통해 “공공도서관이 지역 문화시설의 핵심으로 자리잡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은 이원화돼 있는 공공도서관 운영체계”라고 지적했다. 그는 “선진국 어디서도 볼 수 없는 기형적인 행정체계를 지난 60년간 방치해왔으면서 공공도서관을 확충해 지역문화 발전과 평생학습에 기여하는 기반시설로 정립시키겠다는 발상은 선후가 잘못된 것”이라고 비판했다.
도서관 정책 전반을 심의·조정하는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는 2010년부터 교육청 소속 공무원을 지자체 소속으로 이관하는 방향으로 행정체계 일원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최은주 도서관정보정책위원장은 이날 서울 인사동에서 열린 대토론회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공공도서관 숫자를 보더라도 교육청 도서관은 더 이상 늘지 않고 정체돼 있다”며 “지역 공공도서관은 지자체가 관심을 갖고 관리하는 것이 맞다”고 설명했다. 최 위원장은 “직급이나 인력 재배치 문제 등 교육청에서 우려하는 내용을 충분히 알고 있다”며 “유예기간을 둬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국가발전과 도서관의 역할’을 주제로 하는 이번 토론회는 2일 프레스센터, 3일 서울 반포동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열린다. 첫날엔 한상완 초대 도서관정보정책위원장이 정책, 법제, 운영관리 등 다양한 측면에서 도서관이 수행해야 할 역할을 제시한다. 영국예술위원회 도서관부문 책임자인 브라이언 애슐리 디렉터는 주제발표에서 도서관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 둘째날에는 공공·전문·작은도서관 등 도서관 종류별로 분과 토론이 이어진다.
박상익 기자 dir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