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후조리원 비싼 곳은 1500만원…전국 평균 211만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리나라에서 가장 비싼 산후조리원 일반실 이용 요금이 2주간 15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보건복지부가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 강남의 A 산후조리원이 1500만원의 요금을 받아 국내서 가장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이 산후조리원의 특실 요금은 2000만원에 달했다. 서울의 B 산후조리원, 경남 양산의 C 산후조리원이 700만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경남 양산의 D 산후조리원이 650만원, 서울의 E·F 산후조리원은 610만원을 이용 요금으로 받았다.
이는 민간 산후조리원 일반실 전국 평균 요금(211만원)의 3배를 넘는 금액이다.
전국에서 가장 요금이 싼 산후조리원은 전북 김제의 G 산후조리원으로 이용 요금이 55만원이었다.
H(창원) 산후조리원, I(전주) 산후조리원, J(전주) 산후조리원은 60만원, K(전주) 산후조리원이 65만원, L(정읍) 산후조리원이 79만원으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요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경남 양산(675만원)지역의 평균 요금이 가장 비쌌다.
평균 요금이 가장 저렴한 지역은 전북 김제(55만원)였다.
전북 정읍(70만원), 경남 통영(82만5천원)의 산후조리원 요금도 저렴한 편이었다.
서울지역의 평균 요금은 293만원으로 조사됐다.
전국 3개 지역에서 운영 중인 공공산후조리원의의 평균 이용 요금은 175만원으로 민간 산후조리원보다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SK 울타리 벗어난 SK컴즈, 사명 '네이트'로 변경] [준중형 경쟁차들, 신형 아반떼 출시에 부담 '팍팍'] ["한양대 공대 전통은 대기업 입사 아닌 창업"] [‘간판 내린 매장’ 가장 많은 커피프랜차이즈보니…] [네이버·다음, '뉴스 왜곡' 지적에 동시 포문…"제목 수정 안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보건복지부가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 강남의 A 산후조리원이 1500만원의 요금을 받아 국내서 가장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이 산후조리원의 특실 요금은 2000만원에 달했다. 서울의 B 산후조리원, 경남 양산의 C 산후조리원이 700만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경남 양산의 D 산후조리원이 650만원, 서울의 E·F 산후조리원은 610만원을 이용 요금으로 받았다.
이는 민간 산후조리원 일반실 전국 평균 요금(211만원)의 3배를 넘는 금액이다.
전국에서 가장 요금이 싼 산후조리원은 전북 김제의 G 산후조리원으로 이용 요금이 55만원이었다.
H(창원) 산후조리원, I(전주) 산후조리원, J(전주) 산후조리원은 60만원, K(전주) 산후조리원이 65만원, L(정읍) 산후조리원이 79만원으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요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경남 양산(675만원)지역의 평균 요금이 가장 비쌌다.
평균 요금이 가장 저렴한 지역은 전북 김제(55만원)였다.
전북 정읍(70만원), 경남 통영(82만5천원)의 산후조리원 요금도 저렴한 편이었다.
서울지역의 평균 요금은 293만원으로 조사됐다.
전국 3개 지역에서 운영 중인 공공산후조리원의의 평균 이용 요금은 175만원으로 민간 산후조리원보다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SK 울타리 벗어난 SK컴즈, 사명 '네이트'로 변경] [준중형 경쟁차들, 신형 아반떼 출시에 부담 '팍팍'] ["한양대 공대 전통은 대기업 입사 아닌 창업"] [‘간판 내린 매장’ 가장 많은 커피프랜차이즈보니…] [네이버·다음, '뉴스 왜곡' 지적에 동시 포문…"제목 수정 안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