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9월 회의(16~17일)를 앞두고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불확실성 우려가 커지면서 안정적인 배당투자가 각광받고 있다. 올해 정부가 배당 확대 독려에 나선 것도 배당주 인기를 부추겼다. 최근 두산중공업이 주당 배당금을 작년보다 100원(13.3%) 많은 850원으로 책정하겠다고 발표하는 등 올해 배당 확대 가능성이 큰 종목이 늘고 있는 점도 투자자들이 배당주에 관심을 키우는 요인이다. 증시 전문가들은 배당주를 선택할 때 3년 이상 꾸준히 배당했는지, 그리고 배당 규모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는지를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배당을 아무리 후하게 하더라도 주가가 급락하면 전체 투자수익률이 떨어지므로 향후 실적 전망도 점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금리 시대를 맞아 배당투자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지속될 가능성이 큰 만큼 배당주는 장기투자 대상으로도 적합하다는 분석이다. 노아람 KDB대우증권 연구원은 “저금리 정책이 이어졌던 미국과 독일, 일본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배당수익률이 장기 금리보다 높았다”며 “한국은 국고채 3년물 금리가 연 1.65% 수준으로 떨어졌고, 올해 예상 배당수익률은 1.3%에 달하면서 배당수익률과 금리 간 차이가 거의 없어졌다”고 말했다.
한국경제TV 와우넷 전문가 시각도 비슷했다. 임종혁 파트너는 “배당주는 배당기준일인 연말보다 3개월 앞두고 투자해야 수익률이 좋다”며 “추석 연휴 전후가 배당 투자의 적기”라고 말했다.
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