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인기 상임위는 '구인난'
반면 지역구 챙기기에 도움이 되는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와 국토교통위원회, 금융기관에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정무위원회 등은 새누리당 의원들이 가고 싶어하는 상임위로 꼽힌다. 교문위는 정부예산의 20%가 교육청에 배정돼 각 지역구의 교육시설을 지원할 수 있다. 교문위 내 새누리당 몫 정원이 16명인데 올해 50명이 지원하면서 3 대 1이 넘는 경쟁률을 보였다.
국토위는 지역구 민원 해결의 알짜 상임위로 꼽힌다. 지난 4월 재·보궐선거 당시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당 소속 후보들이 당선되면 지역구 발전을 위해 국토위 배정을 약속하기도 했다. 농·어촌 지역구를 두고 있는 의원들에게는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도 인기다.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이었던 이군현 의원은 지난 7월 농림위 소속인 김 대표와 상임위를 바꿨다. 지역구인 경남 통영·고성을 위해 농해수위로 가겠다고 요청했기 때문이다.
해외 출장이 잦은 외교통일위원회도 가고 싶은 상임위로 꼽힌다. 특히 외통위원장은 외교관 여권, 국가원수급에 준하는 해외 의전 등 특전이 주어진다. 지난 2월 합의추대가 관례였던 외통위원장 직에 나경원, 정두언 두 의원이 의원총회에서 경선을 치르기도 했다.
국회사무처 관계자는 “의원들의 경력과 전문성을 반영한 상임위 배정이 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종필 기자 j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