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 우즈베크에 전자정부 수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지 정부와 합작법인 설립
정보기술(IT) 서비스업체인 LG CNS가 우즈베키스탄 정부와 합작법인을 세워 전자정부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한다. 개별 프로젝트 수주에 치중하던 국내 기업이 전자정부 수출 활로를 찾기 위해 해외 정부와 합작법인을 세운 첫 사례다.
LG CNS는 14일(현지시간) 우즈베크 정부와의 합작으로 우즈베크 타슈켄트에 설립한 ‘LG CNS 우즈베키스탄 유한회사’가 공식 출범했다고 발표했다. 이날 출범식에는 김대훈 LG CNS 사장과 후르시드 미르자히도프 우즈베크 정보통신기술개발부 장관 등이 참석했다.
이 합작법인은 LG CNS가 51% 지분을 소유하고, 나머지를 정부 산하 국영기업인 ‘우즈텔레콤’과 ‘유니콘’이 29%와 20%씩 나눠 갖는다. LG CNS 우즈베크는 앞으로 우즈베크 정부가 주관하는 모든 공공 및 민간 영역의 IT 사업을 수행할 계획이다. 현재 진행 중인 법인·개인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축 사업은 물론 조만간 발주될 전자정부 통합 플랫폼, 국세통합시스템, 타슈켄트 교통카드, 디지털 도서관, 가스공사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ERP) 등 구축 사업도 준비 중이다.
LG CNS 관계자는 “이들 사업을 모두 합치면 수백억~수천억원 규모가 될 것”이라며 “태양광 발전, 스마트 그린시티 등 친환경 사업 분야에서도 상호 협력을 확대하기로 해 사업 규모는 더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
LG CNS는 14일(현지시간) 우즈베크 정부와의 합작으로 우즈베크 타슈켄트에 설립한 ‘LG CNS 우즈베키스탄 유한회사’가 공식 출범했다고 발표했다. 이날 출범식에는 김대훈 LG CNS 사장과 후르시드 미르자히도프 우즈베크 정보통신기술개발부 장관 등이 참석했다.
이 합작법인은 LG CNS가 51% 지분을 소유하고, 나머지를 정부 산하 국영기업인 ‘우즈텔레콤’과 ‘유니콘’이 29%와 20%씩 나눠 갖는다. LG CNS 우즈베크는 앞으로 우즈베크 정부가 주관하는 모든 공공 및 민간 영역의 IT 사업을 수행할 계획이다. 현재 진행 중인 법인·개인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축 사업은 물론 조만간 발주될 전자정부 통합 플랫폼, 국세통합시스템, 타슈켄트 교통카드, 디지털 도서관, 가스공사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ERP) 등 구축 사업도 준비 중이다.
LG CNS 관계자는 “이들 사업을 모두 합치면 수백억~수천억원 규모가 될 것”이라며 “태양광 발전, 스마트 그린시티 등 친환경 사업 분야에서도 상호 협력을 확대하기로 해 사업 규모는 더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